KB증권(대표이사 김성현, 이홍구)이 ‘KB 주식전략, 12개월 타깃 상향: 강세장에 진입한 증시, 다음은 역사적 신고’ 보고서를 25일(수) 발간하며 향후 12개월 코스피 목표 지수를 3700pt로 상향 제시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서 KB증권은 한국 증시가 두 가지 원인에 힘입어 밸류에이션 재평가에 기반한 강세장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코스피 기준 지난 4월 7일 저점(2328pt)에서 두 달 반 만에 35% 급등하는 초강세 국면을 보였다고 진단했습니다.
강세장에 진입하게 한 두 가지 원인 중 하나로 정부 정책을 꼽았는데 정부의 자본시장 개혁 추진을 강세장의 핵심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상법 개정, 배당 분리과세 등 포괄적이고 과감한 정책들이 투자자들의 기대를 끌어올리며 지수를 견인한 것으로 봤습니다. 다만 정부정책이 중요하긴 하지만 장기적 자산가격에 미칠 영향은 상대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없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달러 약세를 꼽았습니다. 코스피는 전통적으로 달러 약세 국면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이는 기업 이익의 증가 때문이 아니라 달러 약세가 한국 증시 밸류에이션의 재평가를 촉발하기 때문입니다. KB증권은 추세적 달러 약세를 전제로 증시의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이끌 저PBR 종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이 보고서에서 밝혔습니다.
향후 증시와 관련해서 보고서에서는 코스피의 경우 단기 과열권에 진입한 상태인데다 리스크 요인이 많아 언제 조정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고 언급했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 재개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고, 실제 시장에서는 8월 전후로 확정될 거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실제 발표된 금융정책과 시장 간 기대 사이에 괴리도 존재할 수 있다는 점도 하나의 위험요소입니다.
다만 겨울과 내년 상반기에 시장의 위험 선호가 재개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위협에도 연준이 4분기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인하 시점이 늦어진 만큼 그 인하 폭이 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한 관세 갈등도 연말에는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으며, 미국의 감세안 관련 예산 반영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KB증권은 금융, 원전, 방산을 강세장 주도 업종으로 제시했습니다. 금융은 대표적인 저PBR주로 코스피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20년 주기로 반복되는 ‘금융주 강세장’ 사이클을 주목했습니다. 금융업종 최선호주로는 ‘한국금융지주’와 ‘삼성증권’을 뽑았습니다.
원전은 탈세계화로 인해 3차 에너지 전환의 주역이 신재생에너지에서 원전으로 교체됨에 따라 원전 관련 주는 2000년대 신재생 에너지가 보였던 상승 패턴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원전 관련 최선호주로 ‘두산에너빌리티’와 ‘현대건설’을 선정했습니다.
방산의 경우 이미 크게 상승했지만 이번에 헤이그에서 진행된 나토 정상회의에서 나토 32개국이 2035년까지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 증액하기로 하는 등 각국이 국방비를 본격적으로 증액할 수 있는 만큼 마지막 랠리가 남았다고 언급했습니다. 최선호주로는 HD한국조선해양, 엠앤씨솔루션을 꼽았습니다.
KB증권 김동원 리서치본부장은 “한국 증시는 이미 단기간 큰 폭의 상승세를 시현했지만, 자본시장 구조개혁 정책의 실현과 원화 강세 등이 추가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기술적 조정 가능성, 관세 리스크 불확실성 등 단기적인 리스크는 염두해야 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밸류에이션 재평가에 따른 강세장 지속과 역사적 신고가 돌파를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KB 주식전략, 12개월 타깃 상향: 강세장에 진입한 증시, 다음은 역사적 신고가 리서치 보고서는 KB증권 홈페이지, KB증권 리서치 홈페이지 및 MTS ‘KB M-able(마블)’ 등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리서치본부 분석자료는 고객들에게 투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됐으며, 주식 투자는 자산가격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일부 또는 전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