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전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며 연체채권 1.2조 늘어
대기업 연체율은 전월과 유사…중소기업·중소법인 연체율 각각 0.08%P, 0.11%P↑
가계대출 연체율 0.08%P↑…가계대출 건전성 관리에 신경써야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 ‘오르락내리락’ 한달 만에 다시 상승세로 전환

  • 일반
  • 입력 2025.09.29 17:33
  • 수정 2025.09.29 17:34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한달 만에 또 다시 오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7%로 6월 말(0.52%) 대비 0.05%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4년 7월(0.47%)과 비교해서는 0.1%p 올라간 수치입니다.

이는 연체채권 정리규모(상·매각 등)가 전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며 연체채권 증감규모가 늘어난데다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 등 중소기업의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상승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7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 8000억 원으로 6월(2조 8000억 원)과 같았으며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 6000억 원으로 6월(5조 7000억 원)대비 4조 1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규 연체율의 경우 0.11%를 기록하며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연체율과 관련해 부문별로 살펴보면 7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67%로 6월 말(0.6%) 대비 0.07%p 상승했습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4%로 전월 말(0.14%)과 같았습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2%로 6월 말(0.74%)에 비해 0.08%p 오른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중 중소법인 연체율의 경우 0.9%로 전달 대비 0.11%p가 오르며 부문 중 가장 연체율이 올랐으며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6월(0.66%)보다 0.06%p 오른 0.72%를 기록했습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0.41%)보다 0.02%p 상승한 0.43%로 확인됐습니다. 가계대출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연체율은 0.29%로 전월(0.3%) 대비 0.01%p 하락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의 경우 0.86%로 6월 말에 비해 0.08%p가 오르며 가계대출 부실채권이 향후에 더욱 늘어날 수 있는 여지를 보인만큼 은행들은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가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감원 한 관계자는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겠다”라며 “최근 연체율 상승폭이 크고 취약부문에 대한 대출비중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