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이달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2년 2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 500여곳을 대상으로 주택건설 사업의 체감경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8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93.2) 대비 3.5포인트 상승한 96.7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1년 6월(108.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특히 수도권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서울은 110.0에서 127.2로 17.2포인트 오르며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경기(105.8→117.5)와 인천(86.6→108.3)도 각각 11.7포인트, 21.7포인트 상승폭을 보이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
주산연은 “수도권은 최근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늘어나는 등 매수심리가 회복되고 청약경쟁률도 높아지는 추세로 이런 현상이 시장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은 91.6에서 92.2로 전월 대비 0.6포인트 상승했다. 대구(78.2→100.0), 울산(78.5→100.0)은 상승폭이 21포인트 수준으로 이번 달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부산도 9.6포인트(90.4→100) 상승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고, 광주는 1.3포인트(105.8→104.5)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기준선(100)을 상회하고 있어 주택사업 여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우세한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전남(100.0→82.3), 충남(93.3→77.7), 충북(100.0→86.6) 등은 10포인트 넘게 크게 하락했다.
주산연은 "주택공급이 부족하고 수요층이 두터운 수도권과 광역시는 지속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방 중소도시는 당분간 박스권에서 등락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