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카오뱅크에서 발급 및 온·오프라인 사용, 카카오톡에서도 손쉽게 이용
행안부 개최 행사 참여해 안전한 모바일 신분증 이용 시연

카카오뱅크,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오픈

  • 은행
  • 입력 2025.07.23 17:58
  • 수정 2025.07.23 18:01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 Daniel)가 실물 신분증 없이도 병원, 은행, 관공서, 편의점 등에서 신분 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번 서비스는 카카오뱅크 앱은 물론 카카오톡 ‘더보기’ 탭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 일상 속 다양한 신분증 제출 상황에서 사용자 편의를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신분증은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춘 디지털 형태의 신분증이다. IC 칩이 내장된 실물 IC 카드 신분증을 보유한 이용자라면,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비밀번호 확인, 얼굴 인증 절차를 거쳐 발급받을 수 있다.

출처 : 카카오뱅크
출처 :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발급된 신분증은 온·오프라인 상황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카카오톡 더보기 탭의 상단 지갑 옆의 모바일 신분증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신분증 사용 시에는 지문 인증 또는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하다.

카카오뱅크와 카카오는 지난해 6월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 양사는 지난 1년간 각자 보유한 모바일 서비스 운영 경험과 최고 수준의 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협력해 안정적인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또한 ▲모바일 신분증 필수 기능 구현 여부 ▲앱 위·변조 및 탈취에 대한 보안성 확보 여부 ▲신분증 발급·이용 시 수행하는 안면인식 기능의 정합성 등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적합성 기준도 모두 통과했다. 이를 통해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보안성과 안정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아 서비스를 개시했다.

특히, 카카오뱅크는 이용자가 단말기 제약 없이 모바일 신분증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삼성월렛 지원 단말) 및 iOS 운영체제(OS)를 모두 지원한다.

모바일 신분증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 안전하게 보관된다. 모바일 신분증 정보는 중앙화된 서버가 아닌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 보안영역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사용할 때마다 블록체인과 실시간으로 연동돼 인증된다.

이날(23일) 행정안전부가 개최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에 참여한 카카오뱅크는 고객이 카카오톡 선물하기로 받은 주류를 오프라인에서 구매할 때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해 본인 인증을 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행사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카카오뱅크의 안전하고 편리한 모바일 신분증 이용 과정을 직접 확인했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가 23일 오후 행정안전부가 개최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에서 카카오뱅크의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이용 과정을 직접 시연하고 있다. 출처 : 카카오뱅크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가 23일 오후 행정안전부가 개최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에서 카카오뱅크의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이용 과정을 직접 시연하고 있다. 출처 :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는 이번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오는 10월 20일까지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한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1만 5000원 상당의 캐시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당첨된 캐시는 고객의 카카오뱅크 입출금통장으로 즉시 입금된다. 또한 SNS 공유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 500명에게는 추첨을 통해 치킨 쿠폰을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된다.

카카오뱅크는 2017년 출범 당시 자체 인증 도입을 통해 공인인증서 없는 안전하고 편리한 뱅킹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공인인증서 중심의 인증 체계에 대한 인식 전환과 금융권의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본인확인기관, 공인전자문서중계자 그리고 전자서명인증사업자까지 인증 라이선스 3종을 모두 취득해 고객에게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다.

또한 카카오뱅크는 금융기술연구소를 통해 다양한 인증 기술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신분증 촬영 및 OCR 인식, 안면 인증, 무자각 인증 등 각종 인증 및 보안 솔루션을 모두 자체 기술로 개발해 실제 서비스에 도입했다.

현재 카카오뱅크는 금융권 최초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안면인식 적합성 평가'를 진행 중이다. 올해 하반기 내 인증을 획득해 보다 고도화된 기술을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에 적용해 안전성을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는 “신분증은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수단인 만큼, 고객이 일상 속에서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카카오뱅크의 보안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