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포털(KOSIS)의 주택건설 인허가실적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총 38만 8,891건으로 전년도(52만 1,791건) 대비 25.5%가 급감했다.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세종시로 전년도 대비 72.4%가 줄어든 1,106건에 불과하다. 이외에 대구 56.5%, 서울, 대전, 전북, 충남 등은 40% 이상, 경남 35%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주택건설시장은 PF대출 시장의 경색과 고금리로 시행사, 건설사 모두가 힘겨운 상황이다. 또한 시멘트, 철근, 레미콘 등 사업의 핵심이 되는 각종 원자재 가격 인상과 인건비 인상까지 더해져 주택건설 인허가까지 가는 과정이 순탄치 못하다.
문제는 3~4년 뒤다. 기존 인허가를 통해 분양에 나서는 곳들은 2027년까지 입주가 가능한데 3~4년 뒤에는 신규주택 공급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공급이 줄어든 시장은 수급불균형으로 매매, 전세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신축 입주물량은 적고 노후주택이 많은 지역에서는 갭투자가 고개를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체 아실에 따르면, 최근 3개월(23년 12월~24년 2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갭투자가 이뤄진 곳 1, 2위는 김포시(40건)와 김해시(39건)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위치한 김포와 달리 지방도시인 김해시는 노후도가 높아 비교적 낮은 가격에 매매가 가능하고 신축 공급은 부족한 만큼 높은 전셋값을 기대할 수 있어 갭투자가 대거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갭투자가 대거 이뤄진 김해시의 지난해 주택건설 사업승인과 착공건수는 4건으로 전년도(13건)보다 70% 가량 줄어는 것으로 조사됐다. 착공실적도 5건에 불과했다또한 2027년까지 김해시에는 약 2만 3천여 세대가 들어설 예정이지만 현 주택시장 분위기상 계획대로 이행이 될지는 미지수다(김해시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현황 자료).
부동산R114에 따르면 김해시 올해 입주물량은 2,409가구며 2025년 6,500여 가구로 증가 했다가 2026년부터 1,100가구 수준으로 줄어든다.
업계 관계자는 “3~4년 뒤엔 심각한 입주 공백으로 인해 신축 아파트의 가치는 크게 달라 질 수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 향후 분양하는 아파트 분양가는 지금보다 높은 수준에 나올 수밖에 없으며, 특히 김해시처럼 주택 노후화가 심한 지역일수록 가격 반등력은 높은 편이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경남 김해시에 새 아파트가 분양에 나서 귀추가 모아진다. 다음은 김해시에서 분양하는 신규 단지에 대한 소개다.
롯데건설이 ‘김해 구산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3월 분양할 계획이다. 경남 김해시 구산동 593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지하 2층~지상 29층, 6개동, 전용면적 84㎡, 총 714가구 규모. 단지 바로 앞 구산초교가 위치한 ‘초품아’이며, 도보 거리 구산중·고교를 비롯해 김해 삼계동 일대 학원가가 가깝다. 홈플러스,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등의 쇼핑시설과 김해시청, 창원지방법원, 김해시법원, 김해문화의전당까지 다양한 생활, 문화시설 등 인프라를 편리하게 누릴 수 있다.
중흥건설이 내덕동에 970가구의 공급을 계획하고 있다.(일정 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