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용 59㎡ 미만 경쟁률 2배 껑충
1~2인가구 60% 육박, 특화 평면으로 소형 선호도 ↑
서울 ‘은평자이 더 스타’ 등 완판 임박

소형 타입 청약경쟁률, 작년 比 2배↑...전용 49㎡가 견인

올해 아파트 청약 결과 소형 타입 경쟁률이 전년 대비 2배 가량 뛴 것으로 나타났다. 1~2인 가구가 10명 중 6명에 달하고, 평면 진화로 소형임에도 넉넉한 실내를 갖춘 것이 인기 요인으로 분석된다.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부동산인포가 청약홈 아파트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올해 59㎡(이하 전용면적) 미만 소형 타입 평균 경쟁률은 10.74 대 1로 조사됐다.

수도권에서 나온 49㎡ 타입이 경쟁률 상승을 이끌었다. 서울 ‘호반써밋 개봉’ 49㎡ 타입이 29.4 대 1, 광명 ‘센트럴 아이파크’ 11.67 대 1, 의왕 ‘인덕원 퍼스비엘’ 9.43 대 1 등을 기록해 관심이 높았다.

전용 49㎡ 타입의 높은 경쟁률에 힘입어 올해 전용 59㎡ 미만 경쟁률은 지난해(5.65 대 1)보다 약 2배 뛰었다. 전용 84㎡가 같은 기간 6.18 대 1에서 9.89 대 1로 전용 84㎡ 초과가 10.51 대 1에서 9.32 대 1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소형 타입에 많은 관심이 쏠린 것을 실감할 수 있다.

이는 소규모 가구 증가라는 사회구조 변화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20년 1~2인 가구는 59.2%에 달하고, 2030년 67.4%, 2040년 72.4%, 2050년 75.8%를 기록할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소형임에도 발코니 확장시 넉넉한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드레스룸, 팬트리 등 공간 효율을 극대화한 설계가 다수 도입된 점도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라며 “전월세를 놓기도 수월해 투자 목적으로 관심을 갖는 수요도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분양 중인 소형 타입에도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GS건설이 시공을 맡은 서울 ‘은평자이 더 스타’가 대표적이다. 총 312가구 규모며, 현재 소형주택(전용 49㎡) 일부 가구를 분양 중이다. 유럽산 포셀린타일, 시스템에어컨, 시스클라인, 오브제냉장고, 식기세척기 등을 기본 제공한다. 가구 당 1대 이상의 주차도 가능하고, 2개의 욕실과 넉넉한 수납공간 등도 돋보인다.

분양 관계자는 “오피스텔은 완판됐고 현재 소형 주택만 일부 잔여 가구를 분양 중이다”라며 “계약자 혜택은 실제 1억원 가량이며, 최근 개선된 시장 분위기를 타고 계약이 순항을 이어가고 있어 조만간 완판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기 의왕에서는 태영건설이 ‘의왕 센트라인 데시앙’ 총 733가구를 지으며, 이 중 532가구가 10월 일반분양 예정이다. 이 중 전용 37㎡ 타입 92가구가 분양 시장에 나온다.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공급하는 수원 ‘매교역 팰루시드’도 총 2178가구 중 1234가구가 분양된다. 이 중 전용 48㎡ 31가구가 일반분양된다.

광명에서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트리우스 광명’ 총 3344가구를 공급하며, 730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내놓는다. 이 중 전용 36㎡ 142가구가 분양된다.

키워드
#소형타입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