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신통기획 1차 공모지 포함 44곳 확정... 6만가구 공급

  • 정비사업
  • 입력 2023.07.06 09:05
  • 수정 2023.07.06 13:29
신속통합기획 추진현황 및 계획/사진제공=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추진현황 및 계획/사진제공=서울시

서울 도심의 낙후 지역을 빠른 속도로 재개발·재건축하는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이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5일 신통기획이 제도 시행 2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1차 공모지 21곳을 포함해 총 44개 구역 6만여 가구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시행된 신통기획은 정비계획 수립단계에서 서울시가 공공성과 사업성의 균형을 이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신속한 사업추진을 지원하는 것을 일컫는다.

 

신통기획은 2021년 9월 도입 후 현재까지 서울 지역 82곳이 추진 중이며, 이 가운데 궁동 우신빌라, 여의도 시범아파트, 방화2구역, 마천5구역 등 44곳이 대상지로 확정됐다. 나머지 38곳은 현재 기획 중이거나 자문 단계를 밟고 있다.

.

시는 신속하고 안정적인 주택공급과 더불어 매력적인 도시공간을 실현하기 위한 4가지 원칙(▲소외지역 정비 ▲생활편의공간 조성 ▲수변감성도시 ▲도시공간 혁신) 하에 신통기획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시는 먼저 도시재생사업 등이 추진됐으나 효과가 미흡한 곳, 정비구역 해제지 등 그간 개발에서 소외된 지역에 지역에 중점을 두고 정비했다.

 

특히 용도지역 상향 등 유연한 도시계획을 적용하고 공공시설 복합화 등 토지이용을 고도화해 사업 실현의 기반을 마련했다. 재개발 1차 후보지 중 가장 난제였던 창신·숭인동 일대를 비롯해 가리봉2구역, 신림7구역 등이 대표 사례다.

 

두 번째로 각 구역마다 지역과 연계하는 공공시설 및 생활편의 공간 조성에도 주력했다. 공덕A(마포구)와 청파2구역(용산구), 상도14구역, 하월곡동 70-1, 상계동 154-3 일대 등이 그 사례다.

 

세 번째로 지천변과 주거단지의 연결로 활력있는 수변공간도 구현했다. 마천5구역은 인접한 성내천 복원(2028년 예정)과 연계해 가로공원, 수변광장, 도서관 등을 조성, 문화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지역명소로 조성한다. 홍은동 8-400, 쌍문동 724일대는 단지와 천변의 경계를 허물어 보행도로, 오픈스페이스, 공원, 근린생활시설 등 수변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유연한 높이 계획과 혁신적인 디자인을 적용해 한강변 경관과 스카이라인에 다채로운 변화를 주고,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신통기획을 진행하고 있다.

 

일례로 압구정아파트는 광역 통경축을 확보하고 최고 높이를 상향해 개방감 있는 단지와 부채꼴의 한강변 특성을 반영한 '파노라마 경관'을 구현한다. 여의도 시범·한양아파트는 63빌딩부터 여의대로까지 U자형 스카이라인을 조성할 예정이다.

 

시는 이러한 신통기획 속도전은 사업성과 공공성 사이의 균형감 있는 접점으로 사업지별 주민-시-구-전문가 등이 원팀(One-Team)을 구성해서 충분한 소통과 통합적 계획이 유효했다고 평가했다.  일반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77%가 '신속통합기획이 정비사업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해 만족도가 높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한편, 시는 연내 75곳(90%), 내년 상반기까지 82곳(100%)의 신통기획을 모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기획 확정 후 주민 동의율 67% 조건을 충족해 정비구역 지정까지 완료한 구역은 현재 8곳에서 연내 22곳, 내년 말까지 75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