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BIS(국제은행) 기준 자본비율이 전분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9일 발표한 '2025년 6월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총자본비율은 15.95%로 전분기말 대비 0.29%p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은행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3.57%로 전분기말(13.18%)에 비해 0.38%p 올랐으며 기본자본비율과 단순기본자본비율은 각각 14.87%, 6.87%로 동기간 0.36%p, 0.14%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6월말 기준으로 모든 국내은행이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며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반기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당기순이익이 견조한 흐름을 지속하고 외화대출자산의 위험가중자산 환산액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총자본비율의 경우 KB국민・신한・우리・씨티・SC・카카오・토스뱅크 등이 16%를 상회하며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하나・NH농협・케이뱅크 등도 15%를 넘었습니다. 다만, BNK는 13.96%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을 결정하는데 주요지표로 쓰이는 보통주자본비율은 씨티・카카오・SC・수출입・토스뱅크가 15% 이상, KB국민・신한・하나・한국산업은행이 13% 이상으로 조사됐습니다. 우리・NH농협・iM뱅크 등이 12% 이상을 기록했으며, IBK기업은행은 11.73%로 유일하게 11%대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15개) 은행이 전분기말 대비 보통주자본비율이 상승한 반면, 일부 인터넷전문은행은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인터넷전문은행 한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출을 비롯해 소상공인 자금 공급 등으로 여신규모가 확대되면서 보통주자본비율이 감소한 것 같다”라며 “다만 전분기에 비해서는 낮아졌으나 여전히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며 보통주자본비율이 은행권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며 매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금감원은 국내 경기회복 지연, 환율 변동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연체율이 지속 상승하는 등 신용 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은행 자본비율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