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입주 물량이 지난해 대비 약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00가구 미만의 중·소 단지의 입주 물량은 약 17.8% 증가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전국 올해 1,000가구 이상 대단지의 입주 가구수(예정 포함)는 14만 3,482가구로 지난해 15만 7,034가구 대비 1만 3,552가구, 약 8.6%가 줄었다. 단지수로 보면 91개 단지에서 84개 단지로 줄었다.
반면 올해 1,000가구 미만 중·소 단지의 입주 물량은 17만 8,247가구로 지난해 15만 1,273가구 대비 2만 6,974가구, 약 17.8%가 증가했다. 단지 수로 보면 368개에서 427개 단지로 늘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올해 수도권에서 대단지 입주 물량은 지난해 대비 약 22.1%가 감소한 반면 중·소단지는 19.3%가 증가했다. 이와 달리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지역의 경우 같은 기간 대단지는 15.5%가 증가, 중·소 단지도 16.9%가 증가했다. 수도권의 경우 대단지가 들어설 만한 사업 부지 확보가 지방보다는 어렵기 때문에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전체적인 입주 물량 감소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내년 1,000가구 미만 중소 단지의 입주 예정 가구수는 13만 3,664가구로 올해 대비 25%가 감소한다. 대단지는 이보다 더욱 많은 물량 감소가 이뤄질 전망이다. 내년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입주 예정 물량은 9만 6,634가구로 올해(14만 3,482가구) 대비 32.7%가 줄어든다.
커뮤니티의 다양성, 관리비 절감 효과 등 보다 선호도가 높은 대단지의 입주물량이 지난해부터 2026년까지 3년 연속 감소(출처: 부동산R114)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품귀현상으로 인한 수요 쏠림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전문가는 “지난 2~3년간 부동산 침체기가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사업 규모가 큰 대단지의 공급이 줄어들었다”며 “지금 시장 분위기가 살아나더라도 향후 몇 년 간은 대단지 아파트의 공급이 크게 줄 전망이기 때문에 품귀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분양을 앞둔 1,000가구 이상 유망 단지로는 먼저 포스코이앤씨가 충남 아산에서 선보이는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 3차’가 있다. 이 단지는 아산탕정지구 도시개발구역 2블록에 위치하며 전용 70·84㎡, 총 1,163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이 중 975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아산탕정지구 도시개발구역에는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 1, 2, 3차 3개 단지가 총 3,517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현대건설은 10월 평택에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를 분양한다. 총 1,918가구(일반분양 599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다양한 조경 및 커뮤니티 설계를 적용한다.
우미건설은 오산시 오산세교2지구 A-14블록에 짓는 ‘오산세교 우미린 센트럴시티’의 견본주택을 25일 오픈한다. 전용면적 59·72·84㎡, 총 1,532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세교2지구 최대 규모 대단지이며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다.
DL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e편한세상 일산 메이포레’가 11월 분양 예정이다. 총 1342가구, 전용면적 59~84㎡ 가운데 59㎡, 84㎡ 171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GS건설은 11월 천안시 성성8지구 도시개발을 통해 ‘성성자이 레이크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84㎡, 1104가구 규모다.
이 밖에도 11월~12월 포스코이앤씨와 한화건설부문 컨소시엄이 인천 남동구 간석동 일대에 2,568가구를, 경기 고양시 주교동 일대에서 2,601가구를 선보일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