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2022년 광역시·도 중 1인당 총급여액(4746만원) 가장 높아
평균 아파트값 소득의 약 6.5배…광역시 중 가장 낮아

소득대비 집값, 울산 최저 서울 최고

지방에서 울산, 광주, 대전 등의 집값이 소득에 비해 저평가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이 뒷받침되는 만큼 가격 부침이 덜하고, 호황기 때는 더 빠른 집값 상승도 기대된다.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소득 대비 아파트값이 전국 평균(10.7배)을 웃도는 곳은 서울(22.5배), 세종(12.2배), 경기(12.1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근로자 소득 대비 아파트값이 22배가 넘어 그만큼 내 집 장만이 어렵다는 얘기다. 반면 울산(5.9배), 광주(7.3배), 대전(8.2배) 등은 전국 평균(10.7배)의 절반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이번 소득대비 집값 관련 수치는 부동산인포가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신고현황’을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시세(12월 말)’로 나누어 계산했다. 울산은 현대차를 중심으로 1인 총 급여액이 가장 높은 지역이지만,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해 소득 대비 내집마련 부담이 덜한 것으로 꼽힌다. 서울과 세종은 총 급여가 울산에 이어 2, 3위를 기록했지만 집값이 비싸 내 집 마련이 만만치 않은 곳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득 대비 집값이 저렴한 울산, 대전, 광주 등 지방 광역시를 중심으로 지역에 공급을 앞둔 새 아파트에도 관심이 쏠린다.

먼저 울산 남구 신정동에는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하는 ‘힐스테이트 문수로 센트럴’ 아파트가 2월 분양 예정이다. 최고 46층 높이에 전용면적 84㎡ 총 566세대다. 단지 내 교육, 문화와 관련된 앵커 테넌트도 다수 들어서 입주민들의 프리미엄 라이프를 돕는다. 입주민 자녀부터 우선 배정되는 국공립어린이집과 초·중·고 자녀교육을 위한 ‘종로엠스쿨’ 입점이 확약됐고, 고압산소치료 헬스케어 센터인 ‘인터오션’, 고급 컨시어지 서비스 업체인 ‘에스엘플랫폼(SLP)’와 협약을 맺었으며, 미술 관람이 가능한 ‘갤러리K’와 협약을 진행 중에 있다.

부산에서는 금정구에는 2월 ‘더샵 금정위버시티’를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59·84㎡ 총 994세대로, 308세대를 분양 계획이다. 1호선 장전역을 이용할 수 있고, 윤산 생태숲이 인접하다.

같은 달 제일건설은 광주 첨단지구 생활권에서 '첨단 제일풍경채 파크원'을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84·115㎡, 총 948세대 규모며, 민간공원특례사업(봉산공원)으로 조성돼 단지 앞 약 18만여㎡ 공원이 위치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