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래 가뭄 속 중형 타입 거래비율 48% ‘역대 최고’

중형 타입 아파트 거래가 역대 가장 많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3년 한 해 동안 총 38만 4,878건의 아파트 매매거래가 일어났다. 29만 8,581건을 기록한 2022년과 비교해 1년 만에 8만 6,297건이 증가한 것이다.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면적별로 보면 ‘국민평형(전용 84㎡)’을 포함한 전용 60㎡ 초과~85㎡ 이하 중형 타입이 가장 많이 거래됐다.

총 18만 4,996건이 거래돼 전체 거래량의 48%를 차지했는데, 2006년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증가량으로 봐도 전년 대비 6만 4,499건이 늘어 지난해 전체 증가량의 74.7%를 차지한다. 공급면적 기준 약 30평 전후 중형 타입의 인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60㎡ 이하의 소형 타입이 15만 9,780건 매매돼 중형 타입의 뒤를 이었다. 이들 중·소형 타입의 거래량 합만 해도 31만 7,827건으로 전체 거래량의 약 89.6%를 차지한다.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85㎡ 초과 대형 타입은 총 4만 102건이 거래돼 전체 거래량의 10.4%에 그쳤다. 2009년 이후 2020년까지 14~15%대를 유지해온 대형 타입 거래량은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10% 남짓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대형 타입보다 중소형 타입의 인기가 더 높아지고 있는 데에는 설계 진화와 높은 집값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평면 설계가 발전하면서 중소형 타입의 공간 효율성이 좋아진 가운데, 집값 상승에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이 고가의 대형 타입보다 ‘가성비’ 좋은 중소형 타입을 찾는 수요가 늘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중소형 타입 위주의 단지들이 분양을 앞두고 있어 귀추가 모아진다.

대우건설은 2월 ‘평택 푸르지오 센터파인’을 분양한다. 서평택의 핵심 택지지구인 화양지구에 들어서는 단지로 지하 2층~지상 29층, 8개동, 전용 74~122㎡, 총 851가구 중 전용 74·84㎡ 타입이 843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소형 84C 타워형 타입의 경우 4Bay구조가 적용돼 넓은 서비스면적을 제공하며, 타입에 따라 알파룸, 팬트리 등으로 수납을 특화했다. 1층 세대 전면에 정원 공간을 배치한 것도 눈에 띈다. 

충남 천안 두정동에서는 현대건설이 ‘힐스테이트 두정역’을 2월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11개동, 전용 84㎡~170㎡, 총 997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중소형 타입 전용 84㎡가 전체 가구수 중 약 87%에 달한다.

경북에서는 같은 달 대한토지신탁이 울진 후포면에서 울진후포 ‘오션더캐슬'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29층, 2개동, 총 123가구 규모로, 전 가구가 선호도 높은 전용 84㎡로 구성된다.

HDC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은 서울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 내 ‘이문 아이파크 자이 오피스텔 IM594’를 2월 분양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분양한 ‘이문 아이파크 자이’ 아파트와 함께 지어지며, 지하 4층~지상 25층, 1개동, 중소형 타입의 전용 24~52㎡ 총 594실로 조성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