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GTX-C노선의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2011년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된 후 12년 만으로 연내 착공과 2028년 개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GTX-C노선은 경기도 양주시 덕정역부터 경기 수원시 수원역까지 총 86.46km에 14개 정차역이 들어선다.
주요역은 덕정역(양주)~의정부역(의정부)~창동(서울 도봉구)~광운대(서울 노원구)~청량리(서울 동대문구)~왕십리(서울 성동구)~삼성(서울 강남구)~양재(서울 강남구)~정부과천청사(과천)~인덕원(안양)~금정(군포)~수원(수원) 등이다.
GTX는 운행속도(표정속도) 시속 100km의 고속철도로 서울지하철 운행속도(시속 30km대) 보다 3배가량 빠르다.
GTX-C노선 사업이 가시화하면서 노선이 들어서는 주변 부동산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GTX-C노선은 최초 계획에서 12년 만에 착공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만큼 시장이 기대가 크다”면서 “공사기간, 개통 전후 등의 과정에 따라 부동산 시장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어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수혜지역, 물량을 접근하는 것은 괜찮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본격적인 가을 분양시즌을 앞두고 GTX-C노선 인근에 새 아파트가 분양을 앞둬 수요층의 이목이 모아지고 있다.
먼저 의정부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오는 10월 ‘더샵 의정부역 링크시티’를 분양한다. 의정부 캠프 라과디아 도시개발사업 부지에 들어서는 단지로, 지하 3층~지상 최고 48층 6개동 총 1,401가구 규모다. 단지 인근 의정부역은 GTX-C 노선이 개통 예정된 곳으로, 2028년 개통되면 삼성역까지 5정거장만에 이동할 수 있다.
태영건설은 의왕시에 ‘의왕 센트라인 데시앙’을 9월 분양 예정이다. 전용 37~98㎡, 총 733가구로 구성된다. GTX-C 인덕원역(예정)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며, 당정동 첨단 융복합 R&D 혁신 허브 추진, 의왕시 도시정비사업 개발호재 등도 있다.
수원에서는 권선6구역을 재개발하는 '매교역 펠루시드'가 하반기 분양할 예정이다. 삼성물산·SK에코플랜트·코오롱글로벌이 시공사로 총 2,178가구(일반분양 1,234가구) 대단지다.
앞서 GTX 노선 중 가장 빠른 사업 속도를 보인 A노선 일대 아파트값은 코로나 등으로 침체됐던 시장 분위기 속에서도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다.
고양 일산신도시 킨텍스 원시티 3블록 전용면적 84.5㎡는 지난 7월 13억9,500만 원(25층)에 거래됐다. 3년 전인 2020년 6월경에 26층 물건이 9억 9,000만 원에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3억~4억 원가량 오른 셈이다. 2016년 분양 당시 고층 분양가는 5억 4,000만원~5억 5,000만 원 선에 공급됐다. 이외에도 용인 구성, 고양 대곡 등 A노선 수혜지역 아파트들 가운데는 1억 원 이상 오른 곳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