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일하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유형을 하나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으로 청년 근로자들의 공공임대주택 입주기회가 확대돼 청년층 일자리 창출,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은 주거와 일자리 지원시설 등이 결합된 청년 근로자 특화형 임대주택이다. 그간 창업인, 중기근로자 등 근로 유형별로만 공급돼 다양한 형태의 청년 근로자가 제때 지원받기 어려웠다.
이에 국토부는 근로 유형과 무관하게 누구나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주택의 유형 구분을 없애기로 했다. 앞으로 공급되는 주택은 창업인, 지역전략산업 종사자, 중소기업·산업단지 근로자 모두 입주 신청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남은 공실은 일자리를 따라 불가피하게 거주지를 이동해야 하는 근로자들이 주거불편을 겪ㅈ 않도록 무주택 요건도 완화한다.
김광림 국토부 공공주택정책과장은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청년 근로자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적인 일자리 정책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주택공급을 위해 시행하는 사업공모에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