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파트 규제 후폭풍…서울 오피스텔 거래량 ‘2.6배' 급증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아파트를 겨냥한 고강도 규제를 잇달아 내놓자, 아파트의 대체 주거지로 꼽히는 오피스텔 시장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를 피해갈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오피스텔 거래량은 급증한 반면, 아파트 거래는 급감하는 등의 대조적인 흐름이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일인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거래는 76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책 시행 직전 보름(10월 1~15일) 거래량 289건의 2.6배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640건에 그쳤으며, 직전 보름(5262건)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을 아파트 규제 강화에 따른 ‘규제 회피 수요’가 오피스텔로 이동한 결과로 분석한다. 

오피스텔은 건축법상 준주택에 해당해 청약통장 가입,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실거주 요건 등 대부분의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LTV 70%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서도 벗어난다. 또한 세법상 주택으로 분류되지만, 청약 대기자는 오피스텔을 매입해도 무주택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수요가 증가하자 오피스텔 가격도 오르는 모습이다. KB부동산 월간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10월 기준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24.6으로 전달(124.5) 대비 0.1포인트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도 지난달 4.8%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8년 이후 약 7년 만의 최고치에 해당한다.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대출 문턱이 유례없이 높아진 상황에서 LTV 70% 대출이 가능한 오피스텔은 자금력이 부족한 실수요자에게 사실상 유일한 ‘주거 사다리’로 평가받고 있다”며 “특히 아파트 청약을 포기할 수 없는 3040세대는 무주택 자격을 유지하면서 거주지까지 확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연말까지 서울에서 분양 예정인 오피스텔에도 수요자 관심이 더욱 집중될 전망이다.

마포구 합정동에서는 ‘라비움 한강’이 이달 공급을 앞두고 있다. 전용 40~57㎡ 소형주택 198세대, 전용 66~210㎡ 오피스텔 65실, 총 263세대 규모다. 최고 38층 높이로 파노라마 뷰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피스텔 일부(전용 114~210㎡)는 한강 조망이 가능한 펜트하우스 타입으로 설계된다. 지하철 2호선과 6호선 합정역을 도보 2분 거리에 둔 초역세권 입지이며, 교보문고, 홈플러스, 망리단길, 합마르뜨, 홍대 상권 등이 가까워 생활 인프라도 풍부하다.  

동대문구 청량리동에서는 ‘청량리역 요진 와이시티’가 공급된다. 전용 43~59㎡ 130세대, 전용 65~84㎡ 오피스텔 25실, 총 155세대다.  단지는 지하철 1호선과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경원선, KTX, GTX-B·C노선과 면목선, 강북횡단선 등 다양한 노선이 교차하고 예정돼 있는 청량리역 역세권 이다.

성동구 도선동에는 지하철 2호선과 5호선과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이 교차하는 왕십리역 인근에 들어서는 ‘왕십리역 어반홈스’가 분양한다. A동 전용 35~37㎡ 42실, B동 전용 29~33㎡ 42실로 구성된다. 전 타입 모두 2룸 구조로 설계되며, 풀퍼니시드 시스템과 스마트 사물인터넷(IoT) 기반 설계도 적용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