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럼프2.0 시대, 세계 경제 전망
2025년 눈여겨봐야 할 ETF

1천만원 있다면 2025년엔 이렇게 불릴 겁니다(김수정 매니저)

  • 일반
  • 입력 2024.12.19 09:10

 

금리 인하와 인플레이션 우려로 안전하면서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처를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ETF는 다양한 자산에 분산할 수 있고 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응력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상품으로 주목 받고 있는데요. 리얼캐스트에서 김수정 미래에셋자산운용 ETF마케팅본부 선임매니저를 만나 현재 국내외 경제 상황을 듣고 2025년 눈여겨봐야 할 ETF 종목을 알아봤습니다.

 


세계 경제가 이렇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탈세계화가 더 심화할 겁니다. 과거 2차 세계대전 끝나고 세계화 흐름이 한 50년 정도 이어졌는데 브렉시트부터 세계화가 깨지기 시작합니다. 유럽 연합에서 영국이 나가고 그 다음해 2017년에 트럼프가 당선되는데 트럼프가 그때부터 미중 무역 분쟁으로 중국 죽이기를 얘기하지만 사실 그 전부터 전 세계적으로 세계화가 깨지기 시작합니다.

나 혼자 잘 먹고 잘 살기, 또는 나랑 내 친구들만 잘 먹고 잘 살기, 그런 부분들이 훨씬 더 강화되고 디커플링 현상이 일어납니다.

디커플링 현상이라고 한다면 과거에는 미국 경제 성장 지수가 상승하면 소비하는 국가한테 여러 가지 물품들을 생산해서 팔 수 있는 국가들 예를 들면 중국이나 우리나라도 같이 성장률이 상승했습니다.

그런데 더 이상 미국이 그런 역할을 하지 않겠다라고 선언을 해버렸습니다.

이처럼 세계적인 트렌드가 바뀐 상태에서 방점을 찍은 게 코로나입니다. 국가와 국가 간의 교역이 교류가 확연히 줄어들고 ‘우리만 잘 살아보자’가 더욱 강화될 것이고 2025년에도 이 트렌드는 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25년 무조건 눈여겨봐야 할 ETF는 이겁니다


이런 변화에 가장 수혜를 볼 국가가 첫 번째는 미국이고 두 번째는 인도입니다.

그 이유는 IMF에서 발표하는 월드이코노믹 아웃룩에서 국가별 경제 성장률을 상향 조정했는지 하향 조정했는지 나오는데 10월에 나온 리포트에서 유일하게 상향 조정한 국가가 미국입니다. 인도는 신흥국 중에서 경제 성장률이 가장 높은 나라고요.

그래서 2025년도에 가장 눈여겨봐야 할 곳이 미국 증시고 그 중 S&P 500과 나스닥100 ETF를 주목해야 합니다.

또한 S&P 500이 매우 좋지만 나이가 어리고 테크 기업에 대한 비중을 늘리고 싶다면 나스닥100 ETF 비중을 더 많이 가져가는 걸 추천합니다. 왜냐면 나스닥100은 전 세계적으로 혁신을 이끌었고 세상을 바꿨다고 판단이 되는, 그런 평가를 받는 대부분의 기업들 애플, 엔비디아, 넷플릭스, 테슬라 등의 기업들 비중이 높습니다.

S&P 500은 미국의 대표성을 나타낸다면 나스닥100은 미국의 혁신성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추가한다면 다우존스30입니다. 이건 미국의 신뢰성을 대변합니다.

이 세 가지 지수 중에서 지금 상황에서는 AI 관련 산업 혁명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나스닥100 ETF 대한 비중을 좀 더 크게 그다음에 S&P 500 비중을 그다음으로 가져가야 된다라고 보고 S&P 500 ETF를 가지고 있다면 나스닥100 ETF를 이번 기회에 투자해 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생각하는 두 번째 이유는 트럼프 당선으로 미국으로 돈이 훨씬 더 많이 몰릴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왜냐면 트럼프는 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펼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 가장 먼저 할 일이 제가 봤을 때는 법인세 내리는 겁니다. 15%까지 내리겠다고 하면 기업들은 환호를 할 것 같습니다.

트럼프는 가장 먼저 아메리카 퍼스트를 외쳤던 사람이고 지금은 아메리카 온리(only)까지 주장하고 있어 미국 기업들은 좋을 것입니다.

또한 안전 자산으로 분류되는 달러로 자산으로 몰리기 마련이라 미국으로 자금이 몰릴 거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이런 것을 누리려면 미국 대표주 투자를 고민을 해 보셔야 된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인도는 첫 번째 신흥국이기 때문에 너무 큰 비중으로 인도에 투자하시는 거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변동성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추천을 하는 이유는 모디 총리가 3연임에 성공을 하면서 본인의 꿈은 중국이 2000년대 초반에 메이드 인 차이나가 전 세계를 휩쓸었을 때 그것을 그대로 메이드 인 인디아로 가지고 싶어 합니다.

총리가 이런 방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도는 그 수많은 인구를 기반으로 엄청난 제조업과 공장을 만들고 기업들한테 친화적인 정책을 펼쳐서 성장을 도모하고 메이드 인 인디아를 널리널리 펼칠 겁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중국을 괴롭힌다면 거기서 수혜를 볼 수 있는 국가가 인도입니다. 그래서 미국을 일단 생각하고, 내가 조금 더 여유 자금이 있다면 인도를 같이 생각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다만 인도는 미국과 달리 ETF도 많은 상품이 없기 때문에 대표 지수인 니프티50(Nifty 50)을 눈여겨 보시고 그다음에 인도에 있는 사람들이 경제 성장률로 인해서 본인들이 돈을 벌면 소비를 할 거라고 저희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니 인도 소비 기업만 모아놓은 ETF를 생각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반도체 ETF 전망은?

반도체 산업을 봤을 때 제일 좋을 거라고 생각하는 국가는 미국이고, 그다음에 한국, 일본, 중국이 있는데 중국 반도체는 트럼프가 너무 미워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살아나는 게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일본과 한국 반도체는 칩스4 법안이 어떻게 개정되는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바이든이 중국을 따돌리기 위해서 한국, 대만, 일본, 미국 4개국이 동맹을 맺었는데 트럼프는 이것에 대해 비난을 했습니다. 다만 칩스 법안을 입안한 게 트럼프 1기 때고 실행한 건 바이든 때라 칩스 법안 자체가 폐지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칩스 법안의 목표는 애초에 미국 반도체 산업을 지키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 반도체는 지켜질 겁니다.

2025년에는 더욱 미국 반도체가 좋을 것이다라고 말하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미국 반도체가 전 세계 반도체 점유율 50%를 갖고 있고 미국 반도체 기업들이 R&D를 그 어떠한 나라보다도 많이 합니다. 고성능의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서 엄청나게 투자를 하고 있어서 헤게모니(hegemony, 패권)를 이길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미국 반도체는 국가가 지켜주고, 최첨단 반도체 만들 수 있는 기술력 다 가지고 있고, R&D 그 누구보다도 많이 하고 전 세계적인 반도체 밸류체인에서 가장 많은 밸류를 받을 거라고 보고 지금도 그러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거라고 봅니다.

다만 반도체 산업도 바뀌었고 있다고 봅니다. 2019년과 지금의 시가총액을 보면 2019년도에 가장 시가 총액이 높았던 반도체 기업은 삼성전자였습니다. 그런데 2024년에는 엔비디아가 1등이고 삼성전자는 뒤로 한참 밀렸습니다. 때문에 미국 반도체 투자라도 미국 AI 반도체 ETF를 가지고 있는 거를 주목했으면 합니다.

 


우리나라 ETF는?


한국은행이 얼마 전에 금리를 내렸는데 그 이유가 수출 데이터가 안 좋고 경제가 안 좋을 것 같아서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 말은 우리나라 경제가 좋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을 한 거에 대한 반증이라고 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자유롭게 투자를 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진 상황에서 국내 대표 지수 ETF보다는 미국 대표 지수 ETF를 눈여겨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 본 콘텐츠는 12월 5일에 김수정 미래에셋자산운용 선임매니저와 촬영한 영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본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 판단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