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0㎡ 이하 소형 청약경쟁률, 중대형 比 최대 3배↑

올해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중형, 대형 타입 대비 최대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11월 2주차 기준)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30.6 대 1로, 전용 60~85㎡ 이하인 중·소형 11.1 대 1보다 약 2.8배, 전용 85㎡ 초과 중·대형 타입보다 약 3.8배 경쟁이 치열했다.

이는 소형 12.9대 1, 중·소형 9대 1, 중·대형 17.3대 1로 중·대형 타입의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지난해와 대조되는 결과다.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실제 올해 최고 경쟁률 상위 5개 단지 중 1위부터 4위까지 전용 59㎡타입이 자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단지로 살펴보면, 올해 2월 서울 서초구에 공급된 ‘메이플자이’의 전용 59.17㎡와 59.54㎡ 타입이 각각 3,574.0 대 1, 3,317.5 대 1로 1, 2위에 자리했다. 이어 서울 강남구에 10월 공급된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 전용 59㎡가 1,910.4대 1로 3위, 7월 서초구 ‘래미안원펜타스’ 전용 59㎡가 1,604.9 대 1로 4위, 경기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중흥S클래스’ 전용 84㎡가 1,584.6 대 1로 5위에 자리했다. 특히 ‘래미안 원펜타스’의 경우 13개 타입으로 공급됐는데 전용 59㎡ 타입의 경쟁률이 1~3위에 자리하며 경쟁이 더 치열했다.

이러한 상황에 소형 아파트의 공급은 향후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2025년 전용 60㎡이하 소형 아파트의 입주물량은 6만 8,984가구로 올해 9만 8,449가구 대비 약 29.9%가 줄어든다. 중·소형은 -30.1%, 중·대형은 -7.1%로 중·소형 타입의 입주 감소율이 조금 더 높지만 2026년에는 소형 -49.2%, 중·소형 -36.0%, 중·대형 -40.3%로 소형 아파트의 감소세가 두드러지는 상황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분양가가 고공행진하면서 다소 가격부담이 적은 소형 타입으로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며, “여기에 과거에는 4베이 판상형 구조가 전용 84㎡에만 적용됐다면 이제는 전용 59㎡에도 적용되고 다용도실, 드레스룸 등 다양한 수납공간도 잘 갖춰져 있는 등 건설사들의 최신식 설계 적용도 소형 타입의 인기를 높이는 이유로 꼽힌다”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11~12월 전용 60㎡ 위주의 소형타입을 구성한 신규 단지가 분양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321번지 일원에 ‘인하대역 푸르지오 에듀포레’를 분양 중이다. 지하 2층~지상 39층, 13개 동, 총 1,500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전용 37~111㎡, 689가구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이 중 소형 타입은 469가구로 분양 물량 중 약 70%를 차지한다. 단지 바로 앞에 학익초, 인주중, 인하사대부속중·고와 인하대까지 모두 인접해 있어 도보 통학할 수 있고, 수인분당선 인하대역 및 재래시장, 영화관, 대형마트 등 편의시설을 도보권으로 이용 가능하다. 12월 2일 특별공급 청약, 3일 1순위 청약접수를 받는다.

롯데건설은 서울 성북구 삼선5구역을 재개발한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의 견본주택을 이달 말 연 뒤 내달 청약 접수를 진행한다. 1,223가구 규모 대단지로, 이중 일반분양분은 전용면적 59㎡와 84㎡, 509가구다.

한양이 경기 평택 브레인시티에 들어서는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을 오는 12월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34층, 6개동, 전용면적 59·84㎡, 총 88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지방에서는 롯데건설이 대전 동구 가오동에 지하 2층~지상 33층, 10개동, 전용면적 59~120㎡, 총 952가구 규모의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를 공급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