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1순위 평균 경쟁률 32.41 대 1... 전년 대비 약 2.5배 이상 껑충
거래량도 전년 대비 16.7% 증가… 서울은 43.8% 늘어

청약·거래량 모두 껑충… 전용 60㎡ 이하 소형 인기

  • 업계동향
  • 입력 2024.11.12 08:50
  • 수정 2024.11.13 09:04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1~2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분양가 상승에 따른 부담 증가로 수요가 쏠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청약시장에서의 인기가 눈에 띈다. 부동산R114가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0월말까지 전국 기준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의 1순위 경쟁률은 32.41 대 1로, 전년 동기간 14.07 대 1과 비교해 약 2.5배 가량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이는 같은 기간 전용면적 60~85㎡ 이하의 1순위 경쟁률이 9.49 대 1에서 11.42 대 1로 소폭 오르고, 전용면적 85㎡ 초과는 17.8 대 1에서 7.89 대 1로 오히려 낮아진 것과 비교된다.

특히 서울의 경우는 올해 전용면적 60㎡ 이하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70.8대 1로, 전년(평균 52.08대 1) 대비 3배 이상이 오르며 높아진 관심을 실감케 하기도 했다.

거래량도 늘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말까지 전국의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매매 거래건수는 총 15만2,640건으로 집계돼 전년 동기간(13만747건) 대비 16.7%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역시 서울의 경우는 상승 폭이 더 커 같은 기간 무려 43.8%(1만3,929건->2만34건)이 증가했다.

업계는 이와 같은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의 인기 상승이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소형 아파트의 관심을 촉발시킨 1~2인 가구 증가세와 분양가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어서다.

실제 통계청이 지난 9월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1인가구는 2022년 기준 전체 가구의 34.1% 수준이었지만 2037년에는 40.1%로 예측됐다. 또한 2037년에는 2인가구 비중도 33%로 예상돼 전체 가구의 70% 이상을 1,2인가구가 차지하게 될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역시 거침없는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국 아파트의 3.3㎡당 분양가는 1,881만7000원으로, 역대 최고가였던 지난 4월(3.3㎡당 1,878만7000원) 분양가를 또 한번 갈아치운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연말까지는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를 선보이는 새 아파트의 분양이 잇따라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서울에서 DL이앤씨가 11월 영등포구 유원제일1차 재건축을 통해 선보이는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를 분양한다. 총 550가구의 규모로, 이중 일반분양 물량 111가구가 모두 전용면적 51~59㎡의 소형 아파트로 구성된다. 지하철 2∙5호선 영등포구청역이 도보권이며 소규모 단지임에도 스카이라운지, 사우나, 프라이빗 오피스룸 등 특화 커뮤니티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롯데건설도 같은 달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을 통해 선보이는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에 전용면적 59㎡ 소형 아파트를 구성해 선보인다. 총 1,223가구의 대단지로 509가구(전용면적 59·84㎡)가 일반분양이며, 일반분양 물량 중 전용면적 59㎡는 369가구다.

수도권에서는 GS건설이 11월 안양시 뉴타운맨션삼호 재건축을 통해 선보이는 '평촌자이 퍼스니티'에 전용면적 53·59㎡ 소형아파트 물량을 포함에 공급한다. 총 2,737가구의 대단지다.

GS건설은 지방 아산에서 선보이는 '아산탕정자이 퍼스트시티'에도 전용면적 59㎡ 물량을 포함해 선보일 예정이다. 총 797가구로 이중 전용면적 59㎡는 136가구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