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둘러싼 이름 경쟁, 결과는?
33번째 신규 한강 다리 이름을 두고 서울시 강동구와 경기도 구리시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각각 두 지자체는 해당 다리를 자기 지역명으로 하는 것이 맞다며 설전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지난 10월 2일,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은 국가지명위원회를 개최, 33번째 한강 다리의 명칭을 ‘고덕토평대교’로 결정했습니다. 고덕토평대교는 서울시 강동구 고덕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1725m 길이의 교량으로, 세종포천고속도로 노선에 포함돼 있습니다. 개통 일정은 이르면 올해 말 진행될 예정입니다.
고덕토평대교와 관련한 강동구·구리시 간 갈등은 하루 이틀이 아닙니다. 2008년, 강동구와 구리시가 이미 구리암사대교 명칭으로 서로 맞붙은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 강동구는 암사대교를, 구리시는 구리대교를 주장했으나, 결국 서울시 지명위원회가 양측 의견을 조율해 ‘구리암사대교’로 명명했습니다.
이후 두 지자체는 구리-고덕 간 교량 명칭을 두고 2020년부터 신경전을 벌여 왔습니다. 강동구 측은 사업 초기부터 ‘고덕대교’란 이름이 쓰였던 만큼, 해당 이름을 써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한국도로공사에 고덕강일공공주택 사업 추진 시 광역교통개선분담금으로 532억원을 납부했기에 더 기여도가 높다는 주장입니다.
반면, 구리시는 고덕토평대교가 있는 지리적 위치를 들어 ‘토평대교’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고덕토평대교 교량의 87% 이상이 구리시에 속해 있고, 이미 강동구에는 강동대교가 있는 만큼, 이번에는 구리 차례라는 논리입니다.
도로 따라 돈길 난다... 이름 하나에 집값 영향이?
일선에서는 이렇게 두 지자체가 다리 이름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유로 지역 경제에 미치는 실익이 있기 때문이란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다리 명칭이 지역 이미지 제고는 물론, 집값 상승과 장기적으로 지역 개발 유치 등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도로나 공항, 철도 등 국가 개발은 인근 지역에 대형 호재로 여겨집니다. ‘길이 뚫리면 집값이 오른다’는 말이 있듯이 도로나 철도, 교량 등은 집값과 밀접한 영향이 있습니다.
일례로 2017년 구리포천고속도로 개통 직전인 5월 경기 의정부 민락동 아파트 평균 아파트 매매가는 3.3㎡당 793만원에서 7월 833만원으로 상승했습니다. 경남 거제시는 2010년 거가대교 개통 이후 3.3㎡당 평균 매매가가 2010년 608만원에서 2011년 713만원으로 올랐으며, 인천 역시 2021년 제3연륙교(2025년 완공 예정) 착공 전후로 3.3㎡당 평균 매매가가 2020년 1195만원에서 2021년 1629만원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당시 주택시장이 추세적으로 상승세에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지만, 해당 교량으로 인한 교통 접근성 개선과 유동인구 증가, 개발 호재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강동구와 구리시는 이번 ‘고덕토평대교’ 명칭에 반발하며 각기 재심의 청구를 요구할 전망입니다. 통상 국가지명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30일 이내 재심의를 청구할 수 있는 만큼, 두 지자체 모두 해당 지명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재심 청구 일정 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기에 향후 재심의 결과가 어떻게 판결 날지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