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2020.06=100)는 103.07로 2023년 6월(102.76)부터 7개월 연속 상승했다. 2022년 12월부터 2023년 5월까지 6개월 연속 하락세 이후 하반기부터 계속 오른 것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지난해 1-5월 하락세를 끊고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고, 지방은 7, 11, 12월을 제외한 9개월 전부 감소하며 전체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 전국 전월세전환율은 지난해 1월 5.56%에서 12월 5.97%로 0.41%p 높아졌다. 수도권은 같은 기간(5.51%→5.93%) 0.42%p, 지방(6.13%→6.42%)은 0.29%p 오르며 수도권의 상승세가 더 두드러졌다.
전월세전환율은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로, 전월세전환율이 높아지면 보증금을 중심으로 하는 전세를 월 임대료를 중심으로 하는 월세로 바꿀 때 셋값이 그만큼 올라간다. 임대인은 요구수익률로 이 지표를 활용하고 임차인은 전세와 월세 중 선택할 때 또는 월세 계약 시 기회비용을 계산할 때 활용한다. 전환율이 6%라고 가정했을 때 전세보증금 1억 원은 총 600만 원의 1년치 월세(월 50만 원)로 계산된다.
월세 수요도 증가 중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 자료에 따르면, 서울 기준 2023년 오피스텔 전월세 거래 6만 6,720건 중 월세 거래는 4만 938건으로 61.4%에 달했다. 2022년 55.8%, 2021년 51.5%와 비교해 2년 만에 약 10%p가 증가했으며, 건수로 따지면 약 8천여 건이 늘었다.
금리 상승으로 전셋값 부담이 커진 수도권 임차인들이 전세에서 월세로 옮겨가는 분위기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는 “오피스텔 수익률이 최근 5%를 돌파하는 등 높은 수익성으로 주목받으며 조금씩 거래가 살아나고 있다”며, “최근 몇 년 새 전세사기, 금리 상승 등의 요인으로 월세 수요도 대폭 늘어나면서 월세를 기대하는 오피스텔 투자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서울에서 2월 분양 예정인 ‘이문 아이파크 자이 오피스텔 IM594’가 탁월한 입지여건을 갖춘 알짜 오피스텔 주목받고 있다. 이 단지는 지하 4층~지상 25층 1개동, 전용 24~52㎡ 총 594실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584실이 일반분양 물량이며, 2025년 11월 입주 예정이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외대앞역이 바로 맞닿아 있고 신이문역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고, 인근에 이문로, 망우로, 동부간선도로, 내부순환도로 등의 도로망이 있어 교통여건이 우수하다. 또 5km 내 13개 대학이 위치하고, 외대가 바로 앞에 있어 대학생 및 교직원 등 임대수요도 풍부하다.
서대문구 독립문 인근에서는 ‘경희궁 유보라’가 2월 분양 예정이다. 지하 5층~지상 최고 23층 2개 동, 아파트 199가구와 오피스텔 116실로 구성된다. 이 중 아파트 108가구와 오피스텔 116실을 일반에 공급된다. 영천시장, 광화문 일대 중심업무지구(CBD) 등이 가까워 입지여건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