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자금 이탈 불길이 점차 진화되고, 예·적금 재예치 규모도 증가하는 등 안정을 되찾는 모양새입니다. 여기에 금융당국까지 나서 건전성 강화에 만전을 기하면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습니다.
예·적금 재예치 하루 만에 3000여 건 넘어... 지점 통폐합으로 부실 솎아내 건전성 제고
새마을금고 범정부 대응단은 지난달 7일 새마을금고 자금 인출 규모가 전날 대비 1조원 가량 줄어드는 등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밝혔습니다. 재예치 규모도 증가했습니다. 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달 일정 기간 안에 예·적금 상품 등을 재예치할 경우 최초 가입 조건과 동일한 이율을 적용하고, 비과세 등의 혜택을 유지하겠다고 전했는데요. 이를 발표하고, 하루 만에 3000여 건이 넘는 재예치 건수를 달성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연체율이 높은 개별 새마을금고 30곳에 대해 합동 특별심사를 펼치고,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 지점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로 600억원 규모의 대출 채권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후 해당 지점을 화도새마을금고와 인수합병시켰습니다. 보통 합병되면 부실 대출로 인한 위험 부담을 타 지점과 나눈다고 생각이 들지만 새마을금고는 색다른 운영법을 적용했습니다.
바로 회수가 어려운 악성 채권 130억원 가량은 새마을금고중앙회가 떠안고, 나머지 자산부채는 금리·만기 등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화도새마을금고에 이관해 보호한 것인데요. 이는 부실 채권을 솎아내 자금력이 충분한 중앙회에 넘겨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운영입니다. 또한 예·적금이 5000만원을 초과하더라도 합병한 금고에서 원금과 이자를 모두 지급하기로 하면서 예금자보호도 강화했습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부실이 의심되는 대출은 선제적으로 대응해 중앙회로 이관시키는 등 건전성 제고에 힘쓰고 있다”며, “자금 이탈 이슈는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 안정권을 유지하고 있고, 고객의 예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면으로 운영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충분한 자금력 확보… 금융당국이 직접 나서 안전장치 가동
실제 금융당국과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충분한 자금력을 강조하며,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고 있습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직접 나서 관리·감독하면서 더욱 안정적인 행보를 잇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5월 말 기준 77조3000억원의 상환준비금과 2조6000억원의 예금자보호준비금이 확보된 새마을금고의 충분한 지급 여력을 전했습니다. 상환준비금인 77조3000억원은 모든 금고의 예·적금 대비 30%에 해당하는 넉넉한 양입니다. 또한 더욱 안정적인 예금 지급 보장을 위해 상환준비금 의무 예치 비율을 50%에서 80%로 상향하는 ‘새마을금고법’ 개정도 추진 중입니다.
이처럼 대응이 빠른 것은 정부가 직접 나섰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새마을금고에 대해 행정안전부뿐만 아니라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위기관리컨트롤타워인 범정부 대응단을 구성했습니다. 이를 통해 새마을금고 예수금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요인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대응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안전장치도 마련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새마을금고 연체율 상승에 따른 우려에 대해 중앙회 대출, 금고 간 거래 등을 통한 유동성 지원이 가능하고, 필요 시 국가, 공공기관, 여타 금융기관으로부터 타입을 통해 지급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감독당국도 새마을금고의 연체채권 정리를 위해 다양한 채널을 확보하고, 대규모 매각을 적응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