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건설업 대출액 부산은행 16.65%, 경남은행 8.76% 증가
취임 4개월 차에 접어든 빈대인호 BNK금융지주가 출항도 못하고 좌초위기에 직면했다. BNK금융그룹 투뱅크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부동산 침체기에도 부동산·건설업 대출액을 크게 늘리면서 부실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여기에 더해 부동산 PF 우발채무가 급증한 탓에 BNK투자증권도 신용등급이 하락하며 자칫 BNK금융지주의 부실 뇌관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BNK금융그룹이 발표한 분기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부산은행의 올해 1분기 부동산·건설업 대출 잔액은 14조4211억원으로 작년 1분기 12조3630억원보다 16.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부동산 대출이 10조7954억원에서 12조4825억원으로 15.63%, 건설업 대출이 1조5676억원에서 1조9386억원으로 23.67% 늘었다.
경남은행은 부동산·건설업 대출 잔액이 동기간 5조5323억원에서 6조167억원으로 8.76% 불어났다. 산업별로는 부동산 대출이 4조7006억원에서 5조1644억원으로 9.87%, 건설업 대출이 8317억원에서 8523억원으로 2.48% 증가했다.
대출 연체액도 크게 치솟았다. 올해 1분기 부산은행 총 대출 연체액은 1182억원으로 작년 668억원보다 76.95%나 올랐고, 경남은행은 동기간 741억원에서 804억원으로 8.50% 늘었다.
BNK투자증권도 부동산 PF 우발채무가 급증했다. 2022년 상반기까지 국내 부동산PF 확약건을 중심으로 우발부채가 급격하게 늘어났고, 브릿지론 등 고위험 비중도 높아졌다. 이에 자산건전성이 저하되면서 올해 1분기 말 기준 요주의이하자산은 906억원으로 늘어났으며, 고정이하자산비율과 자기자본 대비 순요주의이하자산 비중은 각각 2.7%, 3.0%로 저하되었다.
지방 미분양 6만여 가구 적체… 건전성 ‘비상’
지방은 미분양 주택 6만여 가구가 적체되는 등 부동산 시장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이에 BNK금융그룹 건전성에도 여파가 클 것으로 보인다.
실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2104가구로 이 중 6만1070가구가 지방에 쏠린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중 84.70%에 해당하는 수치다. 작년 3월 지방 미분양 주택 총 2만5053가구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나기도 했다.
한편, 공시자료와 신평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BNK금융그룹은 광주 서구 농성동 주상복합 개발사업(비엔케이농성㈜, 200억원), 부산 해운대구 우동 생활형 숙박시설 신축사업(비엔케이우동알㈜, 70억원) 등의 PF 사업자금 조달을 위해 60여 개에 달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 5000억원이 넘는 ABSTB를 실행했다. 이중 20여 개가 후순위인 트렌치(이하 Tranche) C, Tranche D 대출채권 및 부수담보권이다. Tranche C 대출금은 Tranche A 및 Tranche B 대출금 전액이 상환된 이후 상환되는 채권으로 부동산 경기가 안 좋은 요즈음 자칫 부실채권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또한 위 사업 중에서 광주 서구 농성동 주상복합 개발사업은 신축공사가 한 달 이상 연기되고, 상업시설 미분양으로 인해 올해 2월 9일이었던 대출만기일을 8월 9일로 1회 연장했다. 이외에도 부산 해운대 우동 생활형숙박시설(비엔케이우동알(주), 70억원), 강남구 신사동 공동주택(포트라제1차㈜, 50억원) 등은 올해 만기를 앞두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BNK금융그룹은 부동산 침체기에도 관련 대출을 크게 늘리면서 건전성 관리에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아지고 있다”며 “이미 대출 연체액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 부동산 시장이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아 은행권 부실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