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 분당, 수지 ‘삼대장’ 집값 주도…신축 공급 절벽 속 신고가 행진
올해 1~7월 경기지역 집값 상승률 상위 3곳은 과천, 성남 분당구, 용인 수지구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수도권 평균을 크게 웃돌며 집값을 리딩하는 지역으로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집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수도권 아파트는 평균 1.20% 상승했으나 경기도는 -0.07%를 기록했다.
반면, 과천시는 10.45% 상승률을 기록하며 독보적 행보를 이어갔다. 과천시는 지하철 4호선을 바탕으로 2028년 개통 예정인 GTX-C(정부과천청사역) 교통 호재가 기대감을 키운다. 또한 정부청사와 공공기관이 밀집한 배후 수요도 탄탄하다. ‘과천자이’ 전용 84㎡는 지난 7월 23억 8,000만 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성남시 분당구는 6.23% 상승하며 과천에 이어 두번째로 경기도 내에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분당은 강남 접근성과 판교테크노밸리라는 확실한 성장 동력을 갖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는 1,800여 개 기업과 7만8천여 종사자가 근무해 분당구는 직주근접 수요가 견고한 지역으로 꼽힌다. 여기에 1기 신도시 특별정비구역 지정에 따른 재건축, 리모델링 정비사업 기대감이 더해지며 상승세가 이어졌다. ‘상록우성 3단지’ 전용 84㎡는 7월 20억 7,500만 원에 거래되며 역시 신고가를 기록했다.
용인 수지구도 3.50% 상승하며 톱3에 이름을 올렸다. 신분당선 동천역, 수지구청역, 성복역, 상현역 일대 생활권이 집값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는 판교역, 서울 강남역까지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분당신도시와 광교신도시 생활권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젊은 직장인과 신혼부부들의 선호도가 높다. 이외에도 ‘제4의 판교’로 추진중인 ‘오리역세권 제4테크노밸리’ 개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성복역 롯데캐슬 골드타운' 전용 84㎡는 지난 8월 14억 9,900만 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과천, 성남 분당, 용인 수지지역이 이처럼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는 공통적인 이유 가운데 하나로 공급 부족이 꼽힌다.
성남시 분당구은 올해 입주 물량이 242가구 규모의 ‘분당 아테라’뿐이다. 용인 수지구 역시 최근 10년간 연평균 1,500여 가구 정도만 입주했다. 이외에도 과천은 올해 입주 물량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처럼 공급이 줄면서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결국, 신축과 구축의 자산가치 격차가 더욱 뚜렷해지는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수도권에서 준공 5년 이하 단지는 평균 6%대 상승률을 보인 반면, 10년 초과 단지는 2%대에 머물러 상승률이 두 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반기 중 경기 남부 삼대장 지역에 분양을 앞둔 현장들이 있어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는 10월에는 GS건설이 시공하고 위본이 시행하는 ‘수지자이 에디시온’이 분양할 예정이다. 총 480가구 규모의 이 아파트는 신분당선 동천역이 도보 이용 가능해 판교역(3개 정거장), 강남역(7개 정거장)까지 가기 쉽다. 풍덕초, 수지중, 수지고 등 도보 거리 내 학교가 위치하고, 수지구청역 일대에 밀집한 학원가도 이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수지 지역 최초의 스카이라운지,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넉넉한 지하 주차공간, 스마트홈 기술 등 GS건설의 자이 브랜드 리뉴얼 후 수지 지역에 첫 공급 아파트로 눈길을 끈다.
과천 주암지구에서는 오는 12월 ‘과천주암 C1 신혼희망타운’이 분양을 계획 중이다. 전용면적 65~77㎡, 총 811가구 규모며 신혼부부 특화 공공주택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경기 남부권 과천이나 분당, 수지 일대는 업무, 주거, 교통 인프라가 비교적 조화를 잘 이룬 곳으로 공급 가뭄과 개발 호재까지 갖춰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기 수요가 탄탄해 불확실성이 큰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곳으로 꼽힌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