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 14.9兆 시현…전년 比 18.4%↑

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 중 시중은행이 56.37% 차지 이자이익 감소했으나 비이자이익, 영업외손익 크게 늘어 연체율 상승 추세 이어져…대손비용 증가 영향 미쳐

2025-08-22     정소유 기자

상반기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 2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은 14조 9000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12조 6000억 원)와 비교해 2조 3000억 원(18.4%) 늘어났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iM뱅크(은행장 황병우)를 포함한 시중은행은 상반기 8조 400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6조 7000억 원) 대비 1조 7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홍콩H지수 ELS관련 문제가 해소된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환율 및 금리 하락에 따른 비이자이익의 증가도 당기순이익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 Daniel),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 토스뱅크(대표 이은미) 인뱅3사(인터넷전문은행)의 당기순이익은 4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1000억 원 늘었습니다.

반면, 지방은행의 경우에는 지난해 상반기(7000억 원)와 비교해 1000억 원 감소한 6000억 원을 시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특수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5조 4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4조 8000억 원)와 비교해 6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항목별 현황을 살펴보면 이자이익은 올해 상반기 29조 7000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29조 8000억 원)대비 1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상반기 이자수익자산이 3402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늘어났지만 순이자마진(NIM)이 축소 등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반기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경우 우리나라 역시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NIM 추가하락이 예상되는 만큼 은행들의 이자이익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향후 이자이익을 주목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면 동기간 비이자이익이 5조 2000억 원으로 1조 8000억 원 늘어나며 당기순이익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연초 1400원 후반대에서 거래되던 원/달러 환율이 상반기 중 1300원 중반대까지 내려오면서 외환파생관련이익이 크게 증가한데다 이재명 정부 출범에 따른 유가증권시장이 오르면서 유가증권관련이익도 늘어난 영향입니다.

또한 상반기 영업외손익도 1조 5000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일회성 비용이던 홍콩 H지수 ELS관련 배상금 기저효과 및 은행 자회사 투자지분 손상차손 환입 등에 기인한 결과입니다.

지금까지는 국내은행의 이익측면에서 대해 살펴봤다면 지출 부분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상반기 국내은행의 판매비와 관리비는 13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12조 8000억 원)과 비교해 8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13조 7000억 원 중 인건비가 8조 3000억 원, 물건비가 5조 4000억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인건비의 경우 매년 임금상승에 따른 영향에다 상반기 명예퇴직자만 2300명에 달해 명예퇴직비도 많이 나간 여파로 전년 동기(7조 7000억 원)대비 6000억 원 늘었습니다.

물건비는 임차료 및 감가상각비, 광고선전비 등을 포함해 산정되는데 지난해 상반기(5조 2000억원)보다 2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반기 국내은행 대손비용은 3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2조 6000억 원)와 비교해 6000억 원 늘었습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원화대출 연체율 상승 추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국내은행 연체율은 2023년 말 0.38%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말 0.44% 올해 3월 말 0.53%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경제가 쉽사리 살아나지 않자 정부에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제공하는 등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둔화가 지속될 경우 중소기업, 개인사업자 등을 중심으로 대손비용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당국은 신경을 쓸 계획입니다.

대손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