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조 잭팟' MASGA 프로젝트 시동...울산·거제 부동산 활기 '기대'
한미 관세협상 타결, 마스가 프로젝트로 조선업 부흥 '신호탄' 울산·거제 등 경제 활성화 기대, 부동산 시장도 '들썩' ‘한화포레나 울산무거’, ‘트리븐 창원’ 등 신규 분양 관심
한미 관세협상이 가장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한국이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필두로 상호관세를 낮추는 합의에 성공하면서 국내 조선업 부흥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조선업을 대표하는 울산, 거제 등의 지역 가치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부동산 시장 역시 뜨거워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미 정부는 앞서 3,500억 달러(약 485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으며, 이 중 1,500억 달러(약 208조원)는 조선 협력에 활용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특히 한미 간 조선 협력으로 마스가 프로젝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마스가 프로젝트는 국내 조선사들이 미국 현지에서 조선소를 신설하거나 선박 건조, 인력 양성,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등을 추진할 경우 금융을 지원하는 구조다.
시장조사 기관 IBIS월드에 따르면, 미 조선업 시장은 올해 391억달러(약 51조원)에서 2030년 511억달러(약 70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미국이 자체적으로 투자를 늘려 시장을 성장시킬 계획이라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이 많은 일감을 따낼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앞두고 조선업을 대표하는 도시들의 경제가 부흥할 것이란 전망이 따른다. 대표적으로 울산은 HD현대중공업을 중심으로 580여 개의 조선업체가 몰려 있고 협력업체 생태계가 잘 조성된 조선업 수도로 손꼽히며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옥포조선소 등이 몰려 있는 경남 거제 역시 대표적인 조선업 특화 도시이다. 이를 바탕으로 선박 블록을 만들어 미국에서 최종 단계만 건조하도록 공급한다면 각 도시 조선업 산업이 크게 부흥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또한 조선업 분야 투자금액이 명시된 만큼 예측 가능한 수준에서 수주와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의 활성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미 국내 조선업체 빅3(HD한국조선해양·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은 한미 조선 협력을 논의하기 위한 테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로 하면서 발빠른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마스가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한미 조선협력기금 조성 △한미 조선협력 협의체 설치 △한미간 협정을 통한 미군함, 수송선 및 관련 블록을 생산하는 방산기지 특별구역 지정 △기반시설 구축에 필요한 한국 정부의 보증과 투자 등이 담긴 지원법도 발의할 예정이다.
업계 전문가는 “조선업은 다른 업종과 다르게 협력업체 생태계가 뒷받침하지 않으면 아무리 투자해도 활성화하기 어려운 산업이다”라며 “이에 조선업이 발달한 도시를 중심으로 산업이 크게 살아날 가능성이 높고, 지역 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 ‘208조 잭팟’ 수혜 지역 울산·거제·창원 등 부동산 시장도 활기
이처럼 한미 협상을 통한 경제 활성화가 예상되면서 울산·거제 등 부동산 시장도 덩달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의 부흥은 지역 가치 상승, 일자리 창출로 인한 인구 유입, 소득 증가 등 부동산 가치를 끌어올리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타 지역보다 안정적인 부동산 시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향후 다가올 산업 발전으로 인한 시너지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울산은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889세대뿐이며, 이는 6대 광역시 평균인 1,642세대의 절반 수준이다.
신규 분양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대표적인 단지가 ㈜한화 건설부문이 오는 8월 선보일 ‘한화포레나 울산무거’다. 단지는 과거 한화케미칼 사택 부지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한화포레나 울산무거’는 지하 3층~지상 25층, 8개 동, 전용면적 84~166㎡, 총 816세대 규모다. 무거동을 비롯해 옥동과 신정동을 편리하게 오갈 수 있으며 단지 주변으로 삼호초, 옥현초, 삼호중, 성광여고, 울산제일고 등 10여 개의 학교가 모여있다.
같은 달 거가대교를 통해 거제 통근이 용이한 부산 강서구에서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1,370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며, 경남 창원에서도 ‘트리븐 창원(434세대)’이 일반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이번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국내 조선업이 지렛대 역할을 하면서 조선업계를 대표하는 울산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이다”라며 “산업의 발전은 부동산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손꼽히는데, 조선업의 경우 특히 인력이 많이 필요한 산업인 만큼 일자리 창출 등 부동산 수요가 대거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