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줄고 수도권은 착공 '반색'... 지방은 여전히 ‘흑색’

- 6월 악성 미분양 2만 6,716가구… 23개월 만에 감소 - 상반기 주택인허가, 전년 동기보다 감소...공급 불안 지속 - 8월 부동산 대책, 지역간 격차 해소할 수 있는 공급 대책 마련돼야

2025-08-06     권일 기자

상반기 인허가 주택수가 전년도 보다 감소하며 여전히 수급상황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월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 가구는 23개월 만에 감소했으나 1% 수준에 불과해 미분양 해소를 위한 보다 확실하고 포괄적인 대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습니다. 

 

주택 인허가 지난 달보다 개선… 상반기 누적, 전년 동기보다 감소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6월 전국 주택 인허가는 총 2만 8,018가구로 집계돼 5월보다 37.2%가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7.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6월 수급 상황은 다소 나아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상반기 전체로 보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상반기(1~6월) 전국 주택 인허가는 13만 8,456가구로 전년 동기(14만 9,860가구)보다 7.6% 감소했습니다. 수도권은 22.7% 증가했지만 지방이 28% 감소하며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아파트만 한정해 봐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반기 전국 아파트 인허가는 12만 2,304가구로 전년 동기보다 7% 줄었으며 수도권은 25.1% 증가했지만 역시 지방이 29% 줄어들며 시장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 23개월 만에 감소… 1% 수준 불과

악성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은 모처럼 감소했습니다. 2023년 8월 이후 22개월 연속 이어지던 증가세가 멈춘 것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6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6,716가구로 5월보다 1.1%(약 300가구) 줄어든 수준으로 사실 많이 줄었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4,396가구로 4.8% 줄었으며, 경기가 6.4% 줄어들었습니다. 반면 지방은 2만 2,320가구로 0.3% 감소하는데 그쳤습니다. 

지난 2월 정부가 ‘2.19 지역 건설경기 보안’ 방안을 발표하며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LH가 매입(초반 3,000호 수준), 상반기 CR리츠 출시해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및 운영,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매입시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 신설 등의 내용을 포함했지만 한달 사이 감소한 지방 미분양 가구수는 77가구에 불과합니다.

대구와 경북, 경남 지역은 준공 후 미분양 가구가 여전히 3,000가구를 웃돌고 있으며 부산과 전남도 2,000가구를 넘어선 상황입니다. 

 

착공, 거래 등 수도권과 지방 큰 차이… 지역간 격차 해소 대책 조속히 마련돼야

6월 전국에서 착공에 들어간 주택수는 총 10만 3,147가구며 전년 동기보다 39.4%가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상반기 전체로 보면 18.9%가 감소했는데요. 이는 32.8%가 감소한 지방 때문입니다. 

수도권 착공 주택은 2만 416호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52.1%가 증가했습니다. 서울도 99.9% 증가한 2,079가구가 착공했습니다. 

착공은 공급의 중요 선행 지표인데 수도권은 개선된 모습이나 지방은 여전히 침체 속에 머물러 있습니다.

거래시장에서도 수도권과 지방 상황이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6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는 7만 3,838건으로 전월 대비 17.8%, 전년 동기 대비 32.4%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은 4만 2,96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7% 증가했으며 특히 서울은 69.9% 증가한 1만 5,442건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지방은 3만871건으로 전월보다 1.7%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했습니다.

6월 주택시장은 모처럼 악성 미분양이 감소하고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공급 지표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방은 여전히 악성 미분양과 다투고 있으며 공급도 위축돼 수도권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수도권은 단기적인 개선이 있습니다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공사비는 오르고 수도권 내에서도 분양 시장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주택 공급이 이뤄질 것을 마냥 낙관할 수 없습니다. 

8월 중으로 정부에서 공급 계획을 포함한 부동산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장관 임명이 마무리되면 부동산 대책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데요. 장기적인 공급 안정을 통해서 지역간의 간격이 좁혀 질 수 있는 대책이 나올 것인지 주목이 되고 있습니다. 

부동산인포 관계자는 “8월 부동산 대책의 핵심은 공급입니다. 장기적인 공급 계획 보다는 단기, 중기 차원의 공급 대책이 당장 필요해 보이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줘야 합니다”라면서 “이미 수도권에는 여러 택지가 있고, 유휴 부지들이 있었지만 왜 공급이 제대로 안됐는지 원인을 잘 파악해서, 제때 공급 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등 이전보다 심도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