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세종 등 3년새 입주물량 반토막...새 아파트 선점 나서는 수요자들
2022년 부터 시작된 부동산 시장 침체 이유로 올 입주물량이 최근 10년 새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특히 광역 시·도 가운데 부산, 세종, 광주의 입주물량은 2022년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총 28만7,432가구다. 2022년(33만6,199가구) 대비 약 15%가 감소한 수준이다. 금리 인상이 연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기 2022년부터 새 아파트 공급이 주춤해진것이 수년만에 입주물량 감소로 이어지는 것이다.
광역 시·도 가운데는 7개 지역의 입주 물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2022년 1만3,716가구에서 올해 4,820가구로 약 65%가 감소할 예정이며 부산은 2만7,077가구에서 11,418가구로 58%가 감소한다. 세종도 3,793가구에서 1,840가구로 51% 감소 예정이다. 50% 이상의 감소율을 기록한 곳은 이들 세 지역 뿐이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경기(-39,813가구)와 인천(-20,477가구)이 가장 많이 감소할 예정이며 부산은 15,659가구가 줄어들어 가구 수 기준 감소 순위에서도 상위 3개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제주는 132가구에서 1,493가구로 10배 이상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경남과 경북도 각각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18,960가구가 증가하는 서울의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다.
업계에서는 입주 가뭄이 앞으로도 2~3년 이상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22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분양시장 위축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입주 물량 감소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특히 인구가 많은 수도권의 경기 지역, 지방의 부산광역시 등은 계속된 입주물량 감소는 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전문가는 “입주 감소로 수요자들 중심으로 똘똘한 한채 현상이 강화되고 있으며 입주가 계속 감소하면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화 될 것"이라면서 "결국 신규 분양시장도 역세권, 개발호재 등 보유가치가 있다고 평가되는 곳들로 이를 선점하려는 청약자가 몰릴것" 이라고 말했다.
롯데건설은 이달 부산도시철도 2호선 가야역 바로 앞 초역세권 단지 ‘가야역 롯데캐슬 스카이엘’을 분양한다. 아파트 전용 59~84㎡ 725세대, 오피스텔 전용 52~69㎡ 80실 등 총 805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가야역을 통해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롯데면세점, 전포카페거리, 메디컬스트리트 등 전국구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서면을 비롯해 문현금융단지, 광안리, 해운대 등 주요 지역으로의 편리한 이동여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다양한 교육기관이 가깝고 영어도서관, 수학문화관 등이 위치한 부산글로벌빌리지도 도보거리에 있어 학부모 수요의 관심도 높다.
롯데건설이 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에 위치한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를 분양 중이다. 지하 2층~지상 33층, 10개동, 전용면적 59~120㎡, 총 952가구 규모 조성된다. 이에 걸맞게 단지는 대전 최초로 스카이라운지 및 스카이게스트하우스가 도입되며, 전 세대 세대창고 등도 적용돼 지역 최고 수준의 커뮤니티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일대에서는 효성중공업이 ‘해링턴 플레이스 풍무’를 분양 중이다. ‘해링턴 플레이스 풍무’는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총 18개 동, 전용 59~84㎡, 176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1573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며, 7월 14일 특별공급, 15일 1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