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가 모인다" 양산시, 2030 주택 매입 비중 30% 육박

올 1분기 양산시 2030세대 아파트 매입 비율 약 30%... 경남 평균 웃돌아 노후 아파트 비율은 경남 평균(71.7%)보다 10% 가량 낮은 61.8% 매년 인구 증가하는 등 젊은 도시 양산시, 부동산 시장 전망도 밝아

2025-05-21     한민숙 기자

경남 양산시 인구가 4월 기준 36만156명을 기록하며 2015년 30만명을 기록한 후 10년 새 인구 6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산시는 최근 10년 간 경남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이다. 

인구 증가와 함께 지난 1분기 양산시 아파트 매매거래 가운데 약 30%(29.4%)가 2030세대를 통해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1분기 경상남도 아파트 매매거래 연령대별 거래분포 가운데 26.7%가 2030세대를 통해 이뤄졌다.

경남 주택 노후도 /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시 지역 가운데는 진주시가 30.1%로 비중이 가장 컸으며 양산시가 29.4%로 뒤를 이었다.

타지역보다 낮은 노후도 비율도 양산시가 젊은 도시로 자리잡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입주예정 물량까지 포함해 양산시 아파트는 총 13만 3,275가구며 이중 준공 10년을 초과한 노후 단지는 8만 2,369가구로 전체 아파트의 61.8%를 차지한다. 이는 경상남도 평균 노후도(71.7%)보다 약 10%P 낮은 수준이다.

경상남도의 시 지역 가운데 양산시 보다 노후도가 낮은 시는 없으며 양산시 다음으로 노후도가 낮은 도시는 김해시(70.6%)다.

인포그래픽: 리얼캐스트

한편 양산시가 발표한 ‘2040 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현재 인구(약 36만 명)에서 약 33% 늘어난 목표 계획 인구는 약 48만 명으로 전해졌으며, 경제활동인구 역시 현재 20.9만명에서 2040년 29.7만여 명, 약 41.6%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동부양산권은 지속가능한 자족형 복합도시로 성장을 꽤하고 있다. 이에 노후 공업지역 재생, 신규 산업단지 육성, 주거지역의 단계별 개발을 통한 명품주거단지 조성 및 생활SOC 확충을 통한 정주환경 개선, 회야강 르네상스계획을 통한 수변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등 각 생활권별 부문별 전략 수립을 통해 동서 균형발전을 유도하면서 지속 가능한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세부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젊은 층의 유입과 이들을 통한 주택거래가 많아지면 부동산 시장도 경쟁력이 커질 수 있다. 인구 증가, 인프라 확충, 주택거래, 수요 유입 등의 과정을 거치게 돼 도시도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양산시에서는 GS건설은 오는 6월, 경남 양산시에 처음으로 선보이는 자이 브랜드 아파트 ‘양산자이 파크팰리체’의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양산자이 파크팰리체는 양산시 평산동 47-1번지 일원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6개 동, 전용면적 84·120·168㎡, 총 842가구의 대규모 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단지는 웅상센트럴파크(예정)가 바로 옆에 있는 입지로, 입주 후 내 집 앞마당처럼 공원 이용이 가능하다. 이마트 트레이더스, 웅상문화체육센터, 양산시청 웅상출장소, 동부행정타운 부지(2027년 계획) 및 평산동 상권도 가깝게 이용할 수 있다. 도보권 내 평산초등학교가 위치해 있어 안심통학이 가능하고, 웅상도서관도 단지 주변에 위치해 있어 우수한 교육여건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