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인 가구 80% 돌파...중소형 아파트 2년째 강세
치솟는 분양가, 강화된 대출 규제...소형 평형 관심 가속화 4베이 판상형 등 특화 설계 대거 적용
수도권 청약시장에서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타입(이하 소형 티입)의 경쟁률이 2년 연속 강세를 보이고 있다. 고분양가 시대에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소형타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3인 이하 가구 보편화 및 내부 특화 설계까지 여럿 선보여 인기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 렙스의 면적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에서 60㎡ 이하 소형 타입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024년 39.4 대 1 ▲2025년(1~4월) 14.2 대 1을 기록해 2년 연속 가장 높았다.
반면, 지난 2020년부터 4년 연속으로 청약시장을 주도했던 전용 85㎡ 초과 타입은 2020년 103.6 대 1에서 올해 4.5 대 1로 크게 떨어졌다.
소형 타입의 인기가 높아진 배경으로 가장 먼저 꼽히는 것은 가파르게 오른 분양가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3월 수도권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2,837만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4%나 상승했다. 84㎡(34평)과 59㎡(24평)를 비교하며 총액 기준 약 2억8,400만원가량 차이가 난다.
여기에 중대형으로 갈수록 대출규제인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제한을 더 쉽게 넘을 수 있어 자금 마련에서도 소형 타입이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인구구조 변화 역시 소형 타입 선호현상을 이끄는 원인이다. 통계청이 2023년 발표한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가구원수는 2.2명으로 줄었으며, 3인 이하 가구 비율은 전체의 83.3%를 차지하고 있다.
소형 아파트의 평면 설계도 달라졌다. 기존에는 협소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3개의 방과 안방 드레스룸을 넣은 효율적 구조가 보편화 됐고, 일부는 4베이 판상형 구조를 통해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했다.
분양을 앞둔 곳에서도 59㎡ 타입을 갖춘 아파트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금호건설은 오산세교2지구 A12블록에서 민간참여 공공분양 아파트인 오산 세교 아테라를 6월 분양 예정이다. 59㎡ 단일 면적으로 공급되며, 총 433가구 규모다. 금호건설의 오산시 첫 공급이자, 주거 브랜드 ‘아테라’가 적용되는 만큼 우수한 상품 가치도 돋보인다. 남향 위주 배치와 4bay(일부 세대) 특화 설계, 현관창고 등 집안 곳곳에 수납공간도 마련했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반포동에서 공급 예정인 삼성물산 래미안 트리니원에서 59㎡ 타입이 456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나올 예정이다.
분양에 돌입한 인천 부평구 산곡역 역세권 단지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도 39㎡ 52가구, 59㎡ 705가구가 일반분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