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왜 이래?" 대출이자 올랐는데 예금금리는 '뚝'
예금금리 0.16%p 내렸는데, 대출금리 0.453%p 올라 은행권, 정부 권고에 대출금리 올렸다 항변
은행권 예대금리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시중은행이 예금금리는 낮추고 대출금리를 잇달아 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14일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주요 예금상품(1년 만기) 최고금리는 평균 연 3.364%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6월만 하더라도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1년)는 평균 연 3.524%였습니다. 한 달 새 0.16%p가 줄어든 것입니다.
반면 5대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지난 14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 연 3.293∼5.29%로 집계됐습니다. 지난달 19일(연 2.84∼5.294%)과 비교해 상단은 큰 변화가 없지만 하단은 0.453%p 높아진 것입니다.
이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와 코픽스 등 대출 산정에 쓰이는 주요 지표 금리는 시장상황을 반영해 하락했지만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압박하면서 최근 한 달간 은행권이 잇달아 대출금리를 인상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은행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예대마진차(대출상품 최고금리-예금상품 최고금리)가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곳은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입니다. 신한은행의 예대마진차는 1.94%p입니다.
5대 시중은행 중 대출 최고금리가 유일하게 5%를 넘어섰지만 예금상품의 최고금리는 시중은행 중 최저 수준입니다.
이어 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도 예대마진차가 1.59%p입니다. 대출 최고금리가 5%를 넘지는 않았지만 예금상품의 최고금리가 시중은행 최저 수준으로 격차가 많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어 우리은행(은행장 조병규)의 예대마진차는 0.46%p, 하나은행(은행장 이승열) 0.343%p, NH농협은행(은행장 이석용) 0.21%p순입니다.
은행권 예대금리차 확대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에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은행들이 그동안 억눌러왔던 가산금리를 조금씩 올리면서 마진을 챙기는 모습이 좀더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가계대출을 GDP성장률에 맞춰서 운영하라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높이면서 대출총량을 조절하고 있다”라며 “대환대출 경쟁 등으로 가산금리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낮았던 것이 현실이라 미국에서 금리를 인하해도 우리나라 대출금리에 빠르게 반영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계대출도 대출금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7월 가계대출동향에 따르면 全 금융권 가계대출은 6월 대비 5조 3000억 원이 증가했습니다. 6월 全 금융권 가계대출이 4조 2000억 원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1조 원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금융권 가계대출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은 전월과 비교해 5조 4000억 원이 증가했습니다. 6월(5조 9000억 원)에 비해서는 소폭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많은 대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8월에도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거래 증가 및 휴가철 자금 수요 등으로 증가세가 확대할 우려가 있는 만큼 경각심을 가져야 할 시점”이라며 “가계부채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가계대출 증가율을 명목 GDP 성장률 내에서 관리해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