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 90% 육박, 공급은 감소
소가족 증가에 중소형 아파트 '귀한 몸'
3인가구 이하 소가족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다. 행정안전부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인가구 이하 세대는 전체 세대의 82.9%(1,983만1,488세대)를 차지했다. 2021년(81.3%), 2022년(82.2%)에서 매년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소가족 현상이 두드러지며 주택시장에서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으로의 쏠림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41만 1,812건 가운데 중소형은 총 36만 9,198건으로 전체의 89.7%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방광역시를 제외한 지방도시에서는 전체 거래의 92.9%를 중소형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형에 대한 수요가 앞으로도 더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공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 공급된 아파트 중 조합원분을 제외한 일반분양 물량은 총 13만 4,102가구로 이중 전용면적 85㎡ 이하(분양평수 35평 이하)는 10만 2,642가구다. 전체 일반분양 가구의 76.5%에 해당한다. 이는 최근 5년(2019년 이후) 사이 가장 낮은 비중이며, 2019년 83.7%, 2022년 78.6%에서 매년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중소형 면적 공급이 감소한 이유로는 주택건설 시장 전반에 걸친 위축도 영향이 크다. 실제로 2023년(13만 4,102가구) 일반분양 물량은 2022년(22만 1,192가구)의 60% 수준에 불과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어려워지면서 공급이 줄고 원자재 가격까지 오르면서 공사가 지연되는 현장도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라며 "분양가는 계속 오르고 소가족 증가로 인한 잠재수요 증가하고 있어 중소형 아파트는 갈수록 ‘귀한 대접’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소형 아파트 비중이 높은 단지가 분양을 앞두고 있어 주목된다.
먼저 4월 충남 아산 탕정면 일대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중소형 아파트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 2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35층, 9개동, 전용 70~84㎡, 총 1,214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1,050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전 타입 4베이에 판상형, 팬트리가 무상으로 제공되는 전용면적 70㎡ 비중이 높은 단지다.
4월에는 롯데건설이 경남 김해시 구산동 일대에서 ‘김해 구산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할 계획이다. 단지는 지하 2층~최고 지상 29층, 6개동, 전용 84㎡타입, 총 714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국평’으로 불리는 전용 84㎡ 단일면적의 총 5개 타입으로 설계 돼 취향에 따라 선택해 청약할 수 있다.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변동1구역 재개발사업을 통해 공급하는 ‘힐스테이트 가장더퍼스트’가 5월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8층, 15개동, 중소형 위주의 전용 59~84㎡, 총 1,77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1,339가구가 일반 분양 물량이다.
DL건설이 대전 중구에 공급하는 ‘e편한세상 서대전역 센트로’는 중소형 위주의 전용 39~84㎡ 총 74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대우건설이 처인구 남동 일원(은화삼지구)에 짓는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도 중소형 타입을 선보인다. 총 3,700여 가구 중 1단지 1,681가구를 5월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59㎡ 700가구, 84㎡ 976가구로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