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해도 원주민 안 쫓겨난다…’선이주-선순환’ 방식 급부상

2024-02-29     박지혜 기자

이주 갈등 없는 정비사업 방식 등장… ‘선(先)이주 선(善)순환’

재정착 시설을 먼저 만들어 원주민들을 이주시킨 후 본 사업을 진행하는 선이주-선순환 재개발이 새로운 정비사업의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 중구에 따르면 개발로 인해 원주민들이 쫓겨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없도록 전국 최초로 관내 ‘선(先)이주 선(善)순환’ 정비계획을 적용해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구에서 선이주-선순환 방식이 현실화되고 있는 곳은 남대문 인근 쪽방촌과 청계천 공구거리 재개발 구역입니다. 

이들 지역 주민과 상인들은 선이주-선순환에 따라 공공임대주택과 공공임대상가로 우선 이주하게 되는데요. 이후 철거와 본 공사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처럼 선이주-선순환 재개발 정비계획의 핵심은 기부채납 방식으로 기존 거주민들이 재정착할 시설을 사업지 내에 먼저 조성한다는 점입니다. 

그 다음 이주 후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기 때문에 강제 이주에 따른 마찰 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양동·수표구역에 공공임대 보금자리 마련…이주 완료 후 재개발 

이에 쪽방촌이 있는 양동구역 제11·12지구와 청계천 공구거리로 불리던 수표구역은 현재 원주민들이 재정착할 수 있는 보금자리가 건립되고 있습니다. 

두 곳 모두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으로 각각 지상 35층과 23층 규모의 업무시설과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사실 쪽방 주민 178명이 살고 있는 양동구역 제11·12지구는 애초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대책을 세웠다가 주민 반대에 부딪혀 백지화된 바 있습니다. 

이후 지자체가 대안 등을 마련하며 노력한 결과 현재 사업지구 내 지상 18층 규모의 공공임대주택(182가구)과 복지시설 등을 짓고 있습니다. 내년 10월 준공 예정입니다. 

해당 건물이 지어져 쪽방 주민들이 이주를 마치면 쪽방촌은 철거되고 본 정비사업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향후 이곳에는 지상 35층 규모의 건축물이 들어서게 됩니다. 

1960년대부터 청계천을 중심으로 약 240곳의 영세 공구상이 밀집했던 수표구역의 경우 처음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됐을 때 반발이 컸던 곳입니다. 

그러나 선이주 선순환 방식을 택하면서 인근 을지로3가와 세운지구 내 유휴부지에 대체 영업장(160곳)을 설치해 공구상 등을 옮기고 신속한 사업 추진의 단초를 마련했습니다. 

향후 수표구역 내에 지상 8층 규모의 공공임대상가(131실)로 기존 상인들이 입주하게 됩니다. 이후 지상 23층 규모의 건축물이 지어질 예정입니다. 

그동안 선이주 선순환 재개발 방식은 강제 이주에 따른 주민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시도는 돼 왔지만 정작 현실화된 사례는 없었는데요. 

이제 원주민들의 이주공간을 마련한 후 재개발을 진행하는 첫 사례가 나온 만큼 앞으로 재개발 과정에서 주민 상생형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