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수익률 3년 만에 5%대 회복...월세가격 7개월 연속 상승
규제와 시장 침체로 떨어졌던 오피스텔 수익률이 최근 3년 이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오피스텔 수익률은 올해 1월 기준 5.27%를 기록하며 2020년 7월 4%대(4.75%)로 수익률이 떨어진 후 3년여 만에 최고치인 5%대를 회복했다. 과거 4%대 하락 직전 수익률(2020년 6월 5.44%)보다는 낮은 수준이나, 5%대 수익률을 다시 회복할 만큼 임대상황이 나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의 변화로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5월까지 마이너스 변동률(-0.01%)을 기록했던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6월 0.03% 상승한 후 올해 1월(0.07%)까지 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월세가격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다는 것은 그만큼 오피스텔 월 임대료의 강세가 이어졌다는 것이다.
오피스텔 임대료가 오른 이유는 최근까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전세사기 여파로 수요자들이 오피스텔 월세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7월~12월) 전국 오피스텔 임대(전월세) 거래량 7만 7,663건 중 월세 거래는 4만 7,452건으로 전체 임대거래의 61%를 차지한다.
월세가격이 오르고 월세 거래는 활발해졌지만 오피스텔 분양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1년 5만 6,724실까지 분양됐던 오피스텔은 2022년 2만 6,500여실로 급감했고 2023년은 1만 6,300여실까지 줄었다.
올해는 아직 연초라 상세 분양계획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크게 증가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최근 건설시장에 불어 닥친 원자재값 인상 등과 PF가 원만하게 이뤄지지 못해 오피스텔 공급 환경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오피스텔 월세가격 상승이 예상되면서,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희망하는 수요자들의 관심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드물지만 서울을 비롯한 주요 지역에서 오피스텔 공급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서울 동대문구에서는 HDC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 컨소시엄이 ‘이문 아이파크 자이 오피스텔 IM594’을 분양 중이다. 이문동 149-8번지 일원에 지하 4층~지상 25층 1개동, 전용 24~52㎡ 총 594실 규모며 이 가운데 584실이 일반분양 물량이다. 특히 입주예정일이 2025년 11월이고, 전 호실 분양가가 6억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1.10 부동산 대책’의 수혜 단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외대앞역이 바로 맞닿아 있으며, 인근 신이문역도 걸어서 가깝게 이용할 수 있다. 5km 내 13개 대학이 위치해 있으며, 외대가 바로 앞에 있어 대학생 및 교직원 등 임대수요도 풍부하다.
서울 서대문구에서는 ‘경희궁 유보라’가 23일 견본주택을 열었다. 지하 5층~지상 최고 23층 2개 동, 아파트 199가구와 오피스텔 116실로 구성된다. 이 중 아파트 108가구와 오피스텔 116실을 일반에 공급된다. 영천시장, 광화문 일대 중심업무지구(CBD) 등이 가까워 입지여건이 좋다.
인천 연수구 송도동 551-1 일원에는 GS건설이 제일건설㈜과 함께 건립하는 ‘송도자이풍경채 그라노블’을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최고 47층, 23개동(아파트 21개동, 오피스텔 2개동), 총 3,270가구의 대단지로 아파트 2,728가구(전용면적 84~208㎡)와 함께 오피스텔 542실(전용면적 39㎡)이 들어선다. 송도11공구를 관통하는 워터프론트를 접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췄고, 연세대 국제캠퍼스, 인천글로벌캠퍼스(뉴욕주립대, 조지메이슨대, 겐트대, 유타대)가 인접해 있으며, 인하대 오픈이노베이션캠퍼스(인하대 송도캠퍼스, 예정)가 부지와 맞닿아 있다.
부산에서는 두산건설이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양정’을 분양 중이다. 지하 5층~지상 최고 36층 2개 동, 총 264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가운데, 아파트는 244가구, 오피스텔도 20실(전용 84㎡) 공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