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구 평균 자산 ‘첫’ 감소...부채는 소폭 늘어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가구 평균 자산 5억 2727만 원 전년 比 3.7% ↓ 가계부채 9186만 원으로 0.2% 증가…부채 보유가구는 전년에 비해 1.3%p 감소
우리나라 가구 평균 자산이 1년 전(5억 4772만 원)에 비해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지난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 2727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채(9186만 원)를 뺀 순자산은 4억 3540만 원으로 전년(4억 5602만 원)대비 4.5% 줄었습니다. 우리나라 가구 평균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11년 만에 처음입니다.
자산 규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금융자산은 1억 2587만 원으로 3.8% 증가했지만, 실물자산(부동산·기타)은 4억 140만 원으로 5.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가구의 자산 보유액 감소는 집값 하락의 영향이 컸는데 거주 주택 자산이 10% 줄면서 전체 자산 보유액이 축소됐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평균 자산은 60대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60세 이상은 지난해 5억 4372만 원에서 5억 4836만 원으로 0.9% 상승했지만 39세 이하 7.5%, 40대 5.3%, 50대 5.9%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50대 가구가 6억 452만 원으로 가장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산 운용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에 50.4%, 부동산구입 23.9%, 부채 상환 21.6%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금융자산 투자 시에는 예금에 88.8%, 주식투자 8.7%, 개인연금 1.5%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전년에 비해 예금은 5.3%p 늘어났지만 주식과 개인연금은 각각 4.6%p, 0.5%p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는데 고금리 장기화에 주식시장이 침체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금융자산 투자 시 고려 사항은 안전성(67.5%)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익성 19.3%, 현금화가능성 7.4%, 접근성(이용 편리성) 5.7% 순으로 확인됐습니다.
가구 자산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거주 지역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가구주의 42.7%가 변화가 없을 것으로 응답했습니다. 18.6%는 하락할 것, 17%는 상승할 것으로 답했습니다. 지난해 대비 하락할 것이라 전망하는 가구는 9.6%p가 증가한 반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14.2%p가 줄었습니다.
향후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생길 경우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가구주의 52.7%만 투자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부동산 투자 시 가장 선호하는 운용방법에는 아파트 61.2%, 비주거용 건물(오피스텔, 상가 등) 17.6%, 단독주택(다가구주택 포함) 8.9%, 토지(논밭, 임야)7.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 평균 부채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가구 평균 부채는 9186만 원으로 전년(9170만 원) 대비 0.2%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구 평균 금융부채는 6694만 원으로 전년(6803만 원)대비 1.6% 감소했으며 임대보증금은 2492만 원으로 1년전(2367만 원)보다 5.3% 증가했습니다.
부채 보유가구는 전년에 비해 1.3%p 감소한 62.1%로 조사됐습니다. 부채 보유가구의 중앙값은 7700만 원으로 전년(7463만 원) 대비 3.2% 늘어났습니다.
부채 보유액 구간별로는 1억 1000만 원~2억 원 미만에서 부채 보유가구 비율이 16.6%로 가장 높았으며, 1000만 원~30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15.8%로 뒤를 이었습니다. 부채 보유액이 3억 원 이 넘는 가구도 12.8%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40대 가구의 평균 부채가 가장 많았습니다. 40대 가구의 평균 부채는 1억 2531만 원으로, 1년 전(1억 2328만 원)보다 1.6% 늘었습니다. 이어 50대 가구가 1억 715만 원, 39세 이하 9937만 원, 60세 이상이 6206만 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대보증금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 3월 말 기준 전체 가구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7.4%로 전년 대비 0.7%p 늘어났습니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자산이 가장 적은 39세 이하 가구가 29.6%로 가장 높았으며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75.7%로 조사됐습니다.
2022년 가구의 평균 소득은 6762만 원으로 2021년 6470만 원에 비해 4.5% 증가했습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이 4390만 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 소득의 64.9%를 차지했으며 사업소득(17.8%), 공적이전소득(9.2%), 재산소득(6.4%), 사적이전소득(1.6%) 순으로 구성됐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소득을 살펴보면 1000~30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21.6%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상이 20%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외에도 3000~5000만 원 미만 19.8%, 7000만 원~1억 원 미만 17%, 5000~7000만 원 미만 16.4%, 1000만 원 미만 5.2%로 확인됐습니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올해 3월 말 기준 68.1세로 나타났으며 은퇴 후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적정생활비는 324만 원으로 전년(313만 원) 대비 11만 원 늘어났습니다. 은퇴하지 않은 가구주의 비율은 83%로 22년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가구주가 은퇴한 실제 연령은 62.7세로 확인됐으며 가구주와 배우자의 생활비 마련 방법은 ‘공적 수혜금’(30.9%), ‘공적연금’(30.8%), ‘가족수입 및 자녀 등의 용돈’(25.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