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소진도 '극과 극'... 경기ㆍ대구 줄고 전남ㆍ제주는 증가
전국 미분양 물량이 연초 대비 1만 5천 가구 이상 소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5만 9,806가구로 1월(7만 5,359가구)에 비해 1만 5,553가구 감소했다. 미분양 물량이 6만 가구 이하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 만이다. ㆍ
지역별로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물량이 감소했다. 1월 8,052가구까지 쌓였던 미분양 물량이 9월 4,971가구로 3,081가구가 감소했다. 광명, 의왕, 오산, 구리 등은 미분양이 모두 소진했고 광주도 679가구에서 6가구로, 이어 수원(63가구→16가구), 화성(1,352가구→367가구)도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
대구는 올해 들어 3,064가구를 소진하며 경기도의 뒤를 이었으나 1월 당시 1만 3,565가구가 쌓여있던 탓에 아직도 1만 501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남기고 있다. 이 외에 충남(-2,839가구), 대전(-2,107가구), 경북(-1,541가구), 인천(-1,422가구), 울산(-1,263가구) 등이 1천 가구 이상의 물량을 소진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국적으로 많은 미분양 물량이 소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이 전반적으로 회복되었다고 평가하기엔 이르다는 분석이다. 일부 인기 지역이 감소세를 주도했을 뿐, 오랜 미분양 물량을 좀처럼 해소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물량이 더 증가한 지역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의 경우 82가구 소진에 그치며 비교적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래미안 라그란데, 용산 호반써밋 에이디션 등 주요 지역의 단지들은 분양 직후 빠르게 계약 마감에 성공하기도 했으나 일부 비인기 단지들의 물량이 남아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된다.
광주(+311가구), 강원(+402가구), 제주(+632가구), 전남(+716가구) 등은 오히려 미분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작년부터 시작된 시장 침체 여파로 올 초까지 적체되던 미분양 물량이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역별로 양극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인기 지역의 경우 연이은 신규 분양에도 조기 완판을 통해 물량을 쉽게 해소하는 반면 비인기 지역에서는 미분양 우려에 신규 공급도 좀처럼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다음은 미분양 소진률이 높은 지역의 신규 분양 단지에 대한 소개다.
경기도에서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SK에코플랜트, 코오롱글로벌과 컨소시엄을 맺고 분양하는 경기 수원시 권선 113-6구역 재개발 단지 ‘매교역 팰루시드’가 눈에 띈다. 총 2,178가구의 대단지로 이 중 1,234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지하철 수인분당선 매교역세권에 위치하며 GTX-C노선 개통 예정인 수원역과 1정거장 거리다. 도보 거리에 권선초가 있고 수원중·고교도 인접해 있다. AK플라자, 롯데백화점, 수원천, 올림픽공원 등의 생활 인프라 이용이 용이하고 삼성전자 수원사업장, 광교테크노밸리 등도 가깝다.
경기 광명에서는 GS건설, 현대건설, 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이 12월 광명시 광명5R구역을 재개발해 '광명자이힐스테이트SKVIEW'를 분양한다. 지상 최고 37층, 18개동, 총 2,878가구의 대단지로, 일반분양 물량은 전용면적 34~99㎡, 639가구다.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이 도보권에 위치하고, 바로 옆에는 광명동초가 자리하고 있다.
충남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아산에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를 12월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35층, 8개동, 전용면적 84·96㎡, 총 1,140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구성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아산탕정지구 도시개발구역은 약 4,300여 가구 규모의 주거타운을 비롯해 학교, 녹지, 공공청사 등 입주민들을 위한 도시기반시설들이 조성된다.
인천에서는 제일건설㈜이 검단신도시에서 ‘제일풍경채 검단 4차’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84·110㎡ 총 1,048가구 규모다. DK아시아도 인천 서구에 ‘왕길역 로열파크씨티’를 선보인다. 지하 2층~지상 29층, 전용 59~99㎡, 1,500가구로 들어서며, 12월 5일 1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