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부촌 압구정 초고층 재건축 쉬워진다…50층 아파트 나올까
압구정 아파트지구, 47년 만에 지구단위계획 전환
준공 4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가 밀집한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가 미니신도시로 확 바뀔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최근 열린 제1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기존의 압구정 아파트지구를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전환하는 '압구정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안)'을 수정 가결했습니다.
이번 안은 압구정 아파트지구를 지구단위계획으로 전환하면서 건축물의 용도, 밀도, 높이 등 규제 완화 내용이 골자입니다.
과거 용적률은 230%로 일괄 적용됐었는데요. 하지만 규제 완화 등으로 용적률을 법적 상한 최대 300%까지 적용 받을 수 있어 최고 50층 내외로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됐습니다.
앞서 용적률 300%까지 적용해 초고층으로 지어진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가 좋은 예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아파트지구 내 상업을 담당하던 중심시설용지는 주거용도를 도입할 수 있고, 개발 잔여지에도 기존에 허용하지 않던 비주거용도의 건축이 가능해졌습니다
즉, 1970~80년대 대규모 아파트단지로 조성됐던 압구정 아파트지구를 현대적인 도시관리기법인 지구단위계획으로 바꿔 주상복합단지로의 재건축을 보다 쉽게 진행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압구정 재건축 1~6구역이 속한 압구정 아파트지구에는 현대 1~14차, 미성 1·2차, 한양 1~8차 24개 아파트 단지 및 대림빌라트가 조성돼 있습니다.
이중 2~5구역은 신속통합기획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번에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신통기획에 참여하지 않은 1·6구역도 재건축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압구정 재건축 청신호… 총 1만466가구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
압구정 아파트지구 1~6구역 모두 50층 이상 건축이 가능해진 만큼 재건축이 모두 완료되면 일대는 총 1만466가구의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될 전망입니다.
사실 과거 아파트를 집중 공급하기 위해 도입된 아파트지구는 재건축 정비계획과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아파트지구로 지정되면 해당 용지엔 주택 건립만 가능하고, 단지 내 상가도 허용되지 않는 등 주상복합처럼 새로운 주거 형태를 짓기가 어려워서 입니다.
이렇듯 토지 이용에 제한이 많아 재건축이 쉽지 않았기에 약 20년 동안 신축 입주가 없기도 했습니다.
이랬던 압구정이 재건축 호재로 들썩이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건축물과 높이가 어우러져 한강 경관을 조성할 예정이라 더욱 기대감이 큰데요.
실제로 3구역 설계 총괄 관리자로 유현준 홍익대 건축과 교수가 선정되는 등 유명 건축가들이 압구정 재건축의 초호화 밑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처럼 아파트지구를 둘러싼 초호화 설계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강남 전통 부촌으로 꼽히는 압구정의 가치도 나날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적용했던 아파트지구 규제가 풀리고 사업에 탄력이 붙은 압구정이 한강변 초고층 단지로 거듭날 그날을 기대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