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심 속 흉물로 전락한 ‘짓다 만 건축물’의 정체는?

  • 일반
  • 입력 2020.04.21 09:40
  • 수정 2020.04.29 10:08


안양역 핵심 상권 자리 차지한 원스퀘어(구 현대코아)

[리얼캐스트=김다름기자] 경기도 안양시 안양역 앞, 안양의 대표적인 번화가에 어울리지 않게 뼈대만 앙상한 텅 빈 건물이 거대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사방으로 CCTV가 설치돼 있고 펜스를 안전하게 둘러놓아도 보기 흉함은 변함이 없습니다.

현대코아 건물로 알려진 이 건물은 20여년 째 방치돼 있는 상태입니다. 지난 1996년, 대지 2741m², 연면적 3만 8400 m², 지하 8층~지상 12층 규모의 초대형 쇼핑센터로 기대를 모았던 곳입니다. 하지만 공사가 한창 진행되던 1998년, IMF 여파로 시행사가 부도나면서 지금까지 공사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해당 건물은 지난해까지 공사 재개 여부를 두고 말이 많았습니다. 건물주는 2013년 구조안전진단서를 내거나 누수와 출입구 보수공사를 하는 등 공사를 다시 시작하기 위해 노력해왔는데요. 분양대금을 돌려받으려는 사람들과 건물주 사이의 법적 공방전으로 인해 건축 허가가 계속 보류돼 왔습니다. 하지만 고층 건물이 짓다 중단된 채 골조만 이룬 채 20년 넘게 있다 보니 녹으로 부식된 철골 등 시각적인 불안감을 증폭시켜 왔는데요. 안양에서 30년간 거주했다는 직장인 A씨는 “20년이 넘은 철골에 녹도 많이 슬고 부식도 심해 보기만 해도 불안하다”며 “안양역에서 내리자마자 보이는 건물인데 안양의 첫 인상이 슬럼가로 비춰질까 걱정”이라는 의견을 남겼습니다.

오랫동안 분쟁에 시달려온 이 건물은 다행히 버스터미널 대합실로 재탄생 할 예정입니다. 안양시에서 원스퀘어(구 현대코아)빌딩 1층 면적 198㎡를 매입해 시외버스터미널 매표소를 겸한 대합실로 조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입니다. 그간 안양역 광장 시외버스터미널은 매표소가 비좁아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마땅히 쉴 만한 곳이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만안구 경제 활성 측면에 유의미한 진전을 낳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습니다.

신림역 초역세권 자리 차지한 ART 백화점 (구 씨앤백화점)

 

신림역 초역세권에도 10여 년간 방치되고 있는 비운의 건물이 있습니다. 신림역 6번 출구 앞에 있는 ART 백화점(구 씨앤백화점)입니다. 지하 7층, 지상 12층 연면적 4만2176m²의 건물이라는 계획하에 2006년 착공을 시작했지만 시공사가 2008년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공사가 중단된 곳입니다.

인근 공인중개사 A씨는 “신림역 초 역세권이라는 이점을 가진 상권인데 활용을 못 해 안타까울 따름”이라며 “해당 건물이 백화점으로 완공되면 쇼핑몰 밀접 지역으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해당 건물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르네상스몰, 포도몰, 롯데시네마, 순대타운까지 신림역 대형 상권을 이루고 있습니다.

해당 건물은 재개를 꿈꾸며 지금까지 주인이 여러 번 바뀌었는데요. 2011년 농협은행을 새 시공사로 선정해 공사를 재개했지만 다시 개발이 중단됐고, 이후 증권에셋이라는 업체가 부실채권을 인수해 ART백화점이라는 상호를 내걸었지만 현재까지 사업이 진척이 없습니다. 분양계약자들과의 권리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건물은 새주인을 찾은 뒤에도 단 한번도 공사가 재개되지 않았습니다. 신림역 인근에 거주 중인 대학생 B씨는 “미관상 보기 흉한 것도 있지만 안전관리와 청소년 탈선이 걱정된다”는 말을 전했습니다. 

공사 재개될 수 있을까

이 외에도 수도권에는 잿빛 콘크리트와 철골의 모습인 채 시간이 멈춰버린 곳이 여럿 더 있습니다. 도봉구 창동역 민자역사는 2004년 착공해 2010년 공사 중단 이후 그대로 멈춘 상태입니다. 5층 높이의 골조만 덩그러니 남은 곳이죠. 강북구 우이동에는 ‘더 파인트리 앤 스파’ 리조트도 콘크리트 형태로 남아있습니다. 북한산 조망권을 가리는 흉물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이렇게 공사 중단 후 오랫동안 방치되고 있는 건축물이 서울시에만 23곳이나 됩니다. 

해당 건물들 인근 주민들은 “시에서 나서 처리해야 한다”며 불만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지만, 이해관계자끼리의 법적 채무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곳이 많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기관에서 토지와 건물을 매입해 공공사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라는 의견을 전했습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